(세종=연합인포맥스) 남승표 기자 = 11월 취업자 수가 16만5천 명을 기록하면서, 모처럼 10만 명대를 회복했다.

중국인 관광객이 늘면서 도소매·숙박음식점업의 고용 상황이 다소나마 개선된 데다 정부의 재정 지원 영향으로 보건과 복지, 공공행정 부문에서의 취업자 수 증가도 한 몫했다.

하지만 고용악화 상황이 바닥을 치고 회복세로 돌아섰다고 보기에는 섣부르다는 지적이 많다.

제조업 취업자 감소폭이 다시 확대한 데다 실업률은 여전히 고공행진 중이어서 전반적인 고용악화 기조 자체에 변화가 나타났다고 속단할 수 없어서다.

통계청이 12일 발표한 11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전년동월대비 산업별 취업자는 농림어업 8만4천 명, 광공업 -9만8천 명, 사회간접자본 및 기타서비스업 17만9천 명으로 나뉜다.

사회간접자본 및 기타서비스업 취업자는 지난 6월 19만4천 명 이후 7월 7만7천 명, 8월 4만5천 명, 9월 3만7천 명으로 줄어들다 10월 6만 명으로 다시 증가했다.

그동안 큰 폭으로 취업자 수를 줄이던 도소매·숙박음식업의 고용 감소가 둔화했다.

이 업종은 전년동월대비 취업자가 지난 8월 20만2천 명, 9월 18만6천 명, 10월 19만6천 명으로 20만 명대 수준의 감소를 보였다.

11월 취업자 감소가 12만8천 명이니 전월보다 7만 명가량 감소폭이 줄었다.

작년 월평균 33만7천 명이던 중국인 관광객이 올해 1분기 35만1천 명, 2분기 37만2천 명, 3분기 44만1천 명, 10월 47만5천 명 등 개선세를 나타낸 영향이다.

다른 업종에서는 사업·개인·공공서비스 12만1천 명 증가가 눈에 띈다.

지난 6월 11만7천 명 증가에서 7월 -1만1천 명으로 꺾인 뒤 5~6만 명 수준의 증가폭을 유지하다 11월 두자릿 수 증가로 올라섰다.

통계청은 기타 개인 서비스업으로 분류하는 이·미용업, 장례식장, 예식장 등 자영업 분야의 감소세가 둔화했고 차량정비, 세차장 등 업종이 늘었다고 설명했다.

또 종교단체, 시민단체 등 협회 및 단체 취업자도 증가했다고 덧붙였다.

건설업 취업자는 7만3천 명으로 전월 6만 명에서 소폭 증가했다.

연말에 접어들며 아파트 입주물량이 확대한 데 따라 마무리 공사 수요가 늘어난 영향을 받았다.

월평균 아파트 입주물량은 1분기 4만 호, 2분기와 3분기 3만3천 호를 나타내다 10월 3만5천 호, 11월4만7천 호, 12월 3만7천 호로 증가했다.

건설업의 영향으로 일용직 취업자도 작년 10월 1만6천 명 증가 이후 처음으로 2만1천 명 증가를 나타냈다.

이 외에도 보건복지 취업자가 16만 4천 명으로 올해 4월 14만4천 명 이후 계속 10만 명대 증가를 유지했다.

다만 전월과 비슷한 수준이어서 지난 10월 24일 정부가 발표한 일자리 대책의 영향을 확인하려면 좀 더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제조업은 여전히 고용 감소를 나타낸 데다 감소폭마저 확대했다.

11월 제조업 취업자는 전년동월대비 9만1천 명 감소했다.

제조업 취업자 감소는 지난 7월 12만7천 명, 8월 10만5천 명, 9월 4만2천 명, 10월 4만5천 명으로 줄어들다 다시 확장했다.

통계청은 최근 수출이 전년동월과 비교해서 증가하고 있지만 전월과 비교해 감소하는 점을 살펴봐야 한다고 설명했다.

특히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 반도체 산업의 설비투자가 마무리단계에 접어들며 제조업 취업자 증가의 기저효과가 사라지며 전자부품 제조업 취업자가 줄어들고 있다고 덧붙였다.

실업자 수는 90만9천 명으로 1999년 11월 105만5천 명 이후 가장 많았고, 실업률도 3.2%로 2009년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다.

도규상 기획재정부 경제정책국장은 "한 달 반짝 증가한 부분에 대해 일희일비할 수 없지만 반가운 소식"이라면서도 "계속 이어질 것인지는 지켜봐야 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도 국장은 "숫자를 보면 서비스업에서 주로 개선이 있었다"며 정부가 지난 10월 24일 발표한 맞춤형 일자리 대책 효과에 대해서는 "시차를 봤을 때 (정책)영향이라 보기 어려운 측면 있다"고 설명했다.

spnam@yna.co.kr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