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장순환 기자 = 국내 저축은행들이 지난해 사상 최대 실적 이후 실적 악화가 예상되면서 지속적인 규제 강화에 대한 부담도 커지고 있다.

특히, 올해는 법정 최고금리 인하 효과가 본격화되면서 이익 감소가 불가피한 만큼 규제 완화를 요구하는 목소리도 커질 전망이다.

2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 3분기까지 국내 79개 저축은행의 순이익은 8천513억원이다. 사상 최대 실적을 기록한 지난해보다 3.6% 증가했다.

이와 같은 추세라면 저축은행들의 지난해 연간 당기순익은 1조 원을 넘을 전망이다.

다만, 저축은행들은 일반적으로 최고금리 인하의 영향은 금리 인하 단행 후 1년이 지나야 나타나는 만큼 올해부터 이익이 감소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금융당국은 지난해 2월에 법정 최고금리를 24.0%로 기존보다 3.9%포인트 인하했다.

이와 함께 대손충당금 적립률 상한 등 규제 강화 역시 실적에 부담이 될 전망이다.

저축은행 관계자는 "올해에는 대손충당금 적립률이 강화되고 금리인하 요구권 법제화,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도입 등도 실적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라고 예상했다.

따라서, 지속적인 규제 강화에 따른 실적 악화 우려가 커지는 만큼 규제 완화요구 역시 이어질 전망이다.

저축은행은 지역 서민 중심의 금융이라는 설립 취지 때문에 저축은행이 속한 권역에서 기업과 개인 대출이 전체 대출의 일정 비율을 넘어야 하는 권역별 의무대출

비율 목표가 있다.

특히, 저축은행들은 인터넷은행처럼 온라인을 중심으로 한 비대면 거래가 늘어나고 있다며 권역별 의무대출비율은 시대에 뒤떨어진 규제라고 입을 모으고 있다.

최근 들어 수도권과 비수도권 저축은행의 이익 격차가 크게 벌어지면서 권역에 따른 부익부 빈익빈 현상이 심화하고 있는 것도 문제로 지적되고 있다.

예금보험공사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전국 79개 저축은행 가운데 수도권 42개

저축은행의 순이익은 총 4천522억원으로 작년보다 30.2% 증가했다.

반면 비수도권 저축은행 37개의 총순이익은 1천62억원으로 전년 대비 26.6% 감소했다.

작년 상반기만 해도 비수도권 저축은행 순이익은 수도권 저축은행 순이익의 42% 정도였으나 올해는 4분의 1도 채 되지 않을 정도로 격차가 벌어졌다.

또한, 수익성 유지가 핵심 사안으로 떠오르면서 저축은행들은 현재 다른 금융사에 비교해 지나치게 높은 예금보험료율에도 큰 불만을 나타내고 있다.

현재 예금보험료율은 은행 0.08%, 보험과 금융투자사 0.15%, 저축은행 0.40% 수준으로 저축은행은 다른 금융사 대비 최대 5배나 높은 보험료를 지불하고 있다.

과거 저축은행 부실사태 이후 예금보험금 지급이 많이 발생하면서 저축은행의 예금보험 계정에 손실이 커져 보험료율이 크게 올랐다.

저축은행들은 과거 부실상태에 있던 회사들은 없어지고 현재는 그 당시와 다른

사들이 영업하는 상황인데도 불이익을 받고 있다며 현 저축은행의 부실 위험을 고려한 보험료 산정을 촉구하고 있다.

하지만 예금보험공사의 입장에서도 과거 저축은행 사태를 통해 큰 손실이 발생한 만큼 보험료율을 낮추는 데는 소극적일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이 밖에도 저축은행들이 대형화되면서 기업 이미지 개선을 위한 노력을 펼치고 있지만, 광고에서도 규제를 받고 있어 광고에 대한 규제 완화 요구도 이어질 전망이다.

저축은행 관계자는 "올해부터 수익성 악화에 대한 우려가 큰 만큼 지속해서 강화된 규제에 대해 완화를 요구하는 목소리도 커질 것"이라고 말했다.

shjang@yna.co.kr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