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신은실 기자 =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인상하기 직전 언론 보도에는 '물가'라는 단어 출연 빈도가 높았지만 예외도 있었다.(연합인포맥스가 지난 15일 송고한 <기자가 분석한 빅데이터②> 한은 금리인상 전 나오는 '특별한 시그널' 기사 참조.)

16일 연합인포맥스가 2008년부터 약 10년 동안 한국은행 기준금리 보도를 분석한 결과 2017년 11월 금리 인상 전에는 ' 물가'가 단어 빈도 순위 33위에 머물렀다.

앞선 기준금리 인상 전 '물가'가 3위권에 예외 없이 진입했던 것과는 다른 모습이다.





<한국은행 기준금리 인상 전 '물가' 단어 빈도 순위. 출처 : 연합인포맥스>

전문가들은 2017년 11월 금리 인상 결정은 '물가'와 관련성이 상대적으로 떨어졌던 시기였다고 진단했다. 이들은 당시 언론 보도 분석 결과가 이전과 다른 양상을 보인 것은 그 시기 한국은행의 금리 결정 배경을 잘 반영해 준다고 평가했다.

한국은행은 재작년 11월 1.25%였던 기준금리를 1.50%로 인상하면서 통화정책 결정문에서도 물가를 금리 인상의 주요 근거로 거론하지 않았다.

한국은행은 통화정책방향 결정문에서 "소비자물가는 …(중략)…1%대 후반으로 오름세가 둔화됐다"며 "당분간 수요 측면에서의 물가상승압력은 크지 않을 것으로 전망되므로 통화정책의 완화 기조를 유지해 나갈 것이다"고 했다.

지난 2011년 6월 금리 인상 시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지난달에도 4%대 초반의 여전히 높은 수준을 나타냈다"며 "앞으로 경기상승으로 인한 수요 증대, 인플레이션 기대심리 등으로 높은 물가상승압력이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고 했던 평가와는 다른 모습이다.

김일구 한화투자증권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2017년 11월은 새 정부가 들어오면서 한국은행의 저금리 정책이 경제에 부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인식이 있었다"며 "금리를 올려야 부동산 시장 안정을 꾀할 수 있다는 생각도 깔려 있었다"고 말했다.

김 이코노미스트는 "한국은행은 이러한 배경에서 금리를 올렸고, 금리 인상 근거는 과거 금리를 올릴 때마다 내세우던 물가가 주요한 요인이 아니었다"고 설명했다.

김영익 서강대학교 경제대학원 겸임교수는 "2017년 11월은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굉장히 안정된 시기였다"며 "물가를 보면 금리를 인상할 상황이 아니었다"고 진단했다.

김 교수는 "지난해 11월 금리를 올릴 때도 마찬가지로 물가는 안정됐고 경제적 측면으로 봐도 금리를 인상할 배경이 되지 못했다"며 "작년 11월은 부동산 문제가 금리 인상에 큰 역할을 했는데 앞으로도 두고두고 한국은행이 경기 수축 국면에서 금리를 인상한 것에 대한 비판이 나올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국은행 기준금리 언론 보도 분석 대상 기간. 출처 : 연합인포맥스>

이번 빅데이터 분석은 한국언론진흥재단 빅카인즈에서 제공한 기사 중 '한국은행 기준금리'를 키워드로 포함하는 보도를 대상으로 했다. 분석 기간은 2008년 3월 7일부터 2018년 8월 31일까지로, 금리 결정 전 보도 기준은 직전 금통위 다음날부터 금리 결정 전일까지다.

esshin@yna.co.kr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