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이재헌 기자 = 수익형 부동산에 투자하는 개인의 주요 투자상품인 상가에 또 하나의 변수가 생겼다. 정부가 공시지가 상승률을 두 자릿수 가까이 끌어올리면서 비용 부담이 커졌다. 임대수익률이 낮은 서울은 자본차익을 노린 매물이 늘어날지 이목이 쏠린다.

13일 한국감정원 부동산통계정보시스템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 집합상가의 투자수익률은 7.23%를 나타냈다. 중대형 상가는 6.91%, 소규모 상가는 6.35%를 각각 기록했다. 전년에는 모든 상가 부문의 투자수익률이 6%대였다. 부동산가격 상승세를 타고 집합상가의 수익률이 크게 개선됐다.

지역별로 보면(집합상가 기준) 서울의 투자수익률이 7.97%로 가장 높다. 서울에서는 영등포·신촌이 9.08%로 선두다. 도심권은 6.85%로 상대적으로 뒤처졌다.

서울과 함께 부산, 인천, 경기도, 제주의 투자수익률이 7%대다. 세종이 3%대로 가장 부진하고 충북, 충남도 4%대를 나타내 상대적으로 고전했다.

하지만, 상가의 가격상승분을 제외한 소득수익률을 보면 사정이 달라진다.

서울이 집합상가 기준 4.71%로 전국 평균인 4.82%를 밑돈다. 소규모 상가에서는 이 차이(전국 평균 소득수익률-서울 소득수익률)가 0.7%포인트로 벌어진다.

이상혁 상가정보연구소 선임연구원은 "매매가격 상승과 자영업 경기 불황 등 영향으로 상가 수익률이 떨어지면서 투자심리가 위축됐다"며 "실물경기 및 상가 임차수요가 살아나지 않는 한 당분간 수익률 악화 현상이 지속할 것이다"고 내다봤다.

국내 경기 우려가 커지면서 공실이 생기면 수익률이 대폭 떨어질 수밖에 없다.

최근 서울 주요 상권에서도 자영업에 대한 위험 신호가 커지고 있다. 여기에 정부가 공시지가를 올리면서 고정비용 부담까지 늘어난다.

국토교통부는 서울의 공시지가 상승률을 평균적으로 전년보다 13.87%로 결정했다. 전국적으로 공시지가는 평균 9.42% 올랐다. 서울과 함께 부산과 광주가 두 자릿수 인상률을 맞는다.





부동산에 대한 전방위적인 투자심리 위축 속에 상반기에 매물이 추가될지 귀추가 주목된다. 서울처럼 자본차익이 큰 지역을 중심으로 재산세 부과 기준인 6월 이전 동향이 중요할 것으로 진단됐다.

부동산 업계 관계자는 "자산이 부동산에 치중된 은퇴층에서 임대료 분쟁이나 공실 등이 증가하면 포트폴리오 재조정을 고민할 수 있다"며 "자본차익을 많이 본 투자자들이 수익형 부동산을 계속 유망하게 보는지가 관건이다"고 전했다.

jhlee2@yna.co.kr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