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정지서 기자 = 금융당국이 급증하는 가계부채의 원인으로 신용대출을 지목하고 핀셋 대응을 예고하면서 시중은행이 협약대출을 늘리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택담보대출에 의존하던 은행들이 당국의 규제로 대출자산을 늘리는 데 한계가 오면서 기관 대상 영업 경쟁이 치열해진 것도 이러한 협약대출이 늘어난 배경으로 손꼽히고 있다.

20일 금융권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으로 국민·신한·우리·KEB하나은행의 개인 신용대출 잔액은 84조원을 돌파했다.

개별 은행별로는 국민은행이 26조4천억원으로 가장 많았다.

신한은행은 23조8천억원으로 뒤를 이었고, 우리은행과 KEB하나은행은 각각 18조9천억원과 15조3천억원으로 집계됐다.

협약대출은 일정 규모 이상의 법인에 소속된 차주에게 제공하는 개념의 상품성 대출이다. 주로 법인의 성격과 신용에 따라 대출 금리가 상대적으로 낮은게 특징이다.

신용대출 잔액 규모가 큰 상위 3곳 은행은 협약대출을 통해 안정적으로 자산 건전성을 관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한은행은 24조원에 육박하는 신용대출 중 18조원 정도가 상품성 대출이다.

직장인 대출과 엘리트론, 전문직 대상 대출, 경찰 공무원을 대상으로 한 참수리 대출, 군인 대출 등이 주를 이루고 있다.

국민은행도 26조원 중 11조원가량은 협약 대출로 추산된다. 경찰 공무원 대상 무궁화 대출, 지방자치단체나 대기업, 특정 직업군에 제공되는 대출이다.

우리은행도 19조원 중 10조원 이상이 협약 대출이다. 삼성과 효성 등 대기업은 물론 내부 평가를 거친 일반 법인들과 협약을 거쳐 신용대출을 공급하고 있다.

협약대출 차주들은 일반 신용대출 차주와 비교하면 상대적으로 고신용자다. 그 때문에 연체율이 미미해 은행 입장에선 우량 대출자산이다.

금융당국도 이들 은행의 신용대출을 질적 양적인 면에서 안정적으로 평가했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꾸준히 대출자산을 늘려야 하는 은행 입장에서 협약대출은 수익성과 건전성을 함께 확보할 수 있는 대안으로 그 비중이 커진 것 같다"며 "대형 시중은행은 자체 관리 목표에 따라 안정적으로 신용대출을 관리하고 있어 큰 문제가 없다"고 평가했다.

이 관계자는 "계절적인 요인 등을 이유로 최근 신용대출 증가세도 한풀 꺾였다"며 "다만 신용대출은 단시간 내에도 급증할 수 있는 만큼 은행들이 월간, 분기간 목표치에 따라 안정적으로 증가세와 연체율 등을 관리하는 지가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은행들은 당분간 협약 대출의 규모가 더 커질 것으로 내다봤다.

특히 지난해 치열했던 지자체 금고은행, 법원 공탁금 보관은행, 대학교 주거래은행 경쟁이 올해도 계속되고 있는 점을 고려하면 향후 협약 대출도 더 늘어날 수밖에 없어 보인다.

한 시중은행 임원은 "은행권의 올해 대출자산 성장 목표가 평균 4~5%라고 본다면 성장이 제한적인 가계대출 중 신용대출이 차지하는 부분, 기업 대출과 연계된 개인대출이 늘어날 수밖에 없다"며 "협약 등을 바탕으로 한 상품성 대출을 통해 건전성을 관리하며 안정적인 장기 고객군을 확보하려는 경쟁이 더 치열해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jsjeong@yna.co.kr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