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한종화 기자 = 리보(Libor·런던 은행간 금리) 금리의 산출 중단이 2년 앞으로 다가오면서 각국의 금융당국들이 무위험지표금리 도입에 속도를 내고 있다.

영국뿐만 아니라 주요국들이 모두 자국의 은행간호가금리(IBOR)를 보완하거나 폐지하면서 그 자리를 대신할 무위험지표금리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도 리보 역할을 하는 양도성예금증서(CD) 금리가 존폐의 기로에 설 것으로 보인다.

23일 금융시장에 따르면 금융당국은 오는 6월 익일물(만기 1일) 콜금리 또는 환매조건부채권(RP) 금리 가운데 하나를 국내 무위험지표금리로 선정할 계획이다.

무위험지표금리의 선정에 따라 CD 금리의 역할 변화도 불가피할 전망이다. 당분간은 CD 금리와 무위험지표금리를 함께 사용하면서 CD금리를 보완해야겠지만 장기적으로는 CD 금리의 폐지에 대비해야 한다는 분석이 나온다.

CD 금리는 그동안 유동성 부족과 경직적인 금리로 시장의 신뢰를 받지 못했고, 리보 조작 스캔들이 터진 2012년에는 국내에서도 CD 금리 담합 의혹이 불거지면서 당국이 조사에 나서기도 했다.

자본시장연구원에 따르면 지표금리로 사용되는 CD 91일물은 2019년 10월 말 기준 월평균 발행건수가 4.5회에 불과하고, 월간 발행금액도 약 5천117억 원 수준이다. 또 2018년과 2019년(1~10월) 금리가 10일 이상 변하지 않은 기간이 각각 236일과 143일에 달할 만큼 금리가 경직적이다.

단점을 보완한다고 해도 CD 금리는 리보처럼 호가를 취합해 금리를 산정하기 때문에 '실거래' 가격을 사용하는 무위험지표금리에 비해 신뢰성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

현재 CD 지표 금리 산정은 금융투자협회가 10개 증권사로부터 CD금리를 제출받아 가장 낮은 금리와 높은 금리를 제외한 나머지를 산술 평균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시장 거래에서 포착된 금리가 아니라 소수의 전문가들이 금리 수준에 대해 낸 의견을 기초로 지표 금리를 만들기 때문에 주관적 판단을 배제하기가 어렵다.

백인석 자본시장연구원 연구위원은 "장기적인 관점에서는 CD금리 사용을 중단하고 무위험지표금리 단일체제로 이전하는 방안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며 "리보 사례에서 알 수 있듯이 근본적으로 유동성이 충분한 수준까지 개선되지 않는 한 CD금리에 대한 의존은 지속 가능하지 않다"고 강조했다.

jhhan@yna.co.kr

(끝)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에서 2시간 더 빠른 11시 04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