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전소영 기자 = 한국은행은 미국의 인플레이션 전망 불확실성이 커진 만큼, 기존 경기 요인에 의존하기보다는 품목별 특이요인의 파급효과를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이 유용하다고 진단했다.

한은은 9일 해외경제포커스 '미국의 저인플레이션 관련 최근 논의 및 시사점'에서 "최근 저인플레이션 배경 등과 관련한 논의가 연방준비제도(Fed·연준)와 시장에서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며 연구 배경을 설명했다.

한은은 최근 미국의 경기와 고용이 물가에 미치는 영향력이 과거보다 상당히 약화했다고 평가했다.

고용에 대한 물가의 반응 정도를 나타내는 필립스곡선 기울기가 1980~1990년대 이후 빠르게 평탄화됐다.

또, 인플레이션 기대의 안착이 인플레이션 확대를 제약하는 요인이 됐다. 연준은 2012년 물가 목표제를 도입하는 등 물가 안정을 명시적으로 하는 방향으로 통화정책을 운용했고, 기대인플레이션이 견고하게 안착했다. 이 때문에 금융위기 이후 인플레이션 결정에 있어서 과거 인플레이션 영향이 축소됐지만 인플레이션 기대 중요성이 커졌다.







물가 상승을 추세적으로 제약하는 요인에 구조적 제약도 꼽혔다

전자상거래 확대는 온라인과 오프라인 업체 간 가격 경쟁력을 심화시켰다. 미국 노동시장에서도 근로자의 교섭력이 약화하는 방향으로 변하면서 경기 호조에도 임금 상승세가 제약됐다.

기술발전은 기술을 집약적으로 이용하는 제품의 가격을 낮추고, 전반적인 노동생산성 향상으로 기업의 단위노동 비용도 줄어들었다.

여기에 금융위기 이후 정부의 정책 변경 등 경기변동과 상관없는 특이요인이 인플레이션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한은은 분석했다.

금융위기 이후 물가 상승률에 대한 경기민감 물가 기여도는 이전과 비슷했지만, 비민감 물가 기여도는 축소됐다. 미국의 경우 법률 변경으로 공적 의료보험 프로그램 지출이 줄어들면서 의료 서비스 인플레이션이 둔화했기 때문이다.

한은은 "최근 기대 인플레 안착과 경제구조 변화로 물가 상승 압력이 구조적으로 둔화했고, 경기의 물가 영향력 약화, 품목별 특이요인 영향력 확대 등으로 미국 인플레이션 전망 불확실성이 커졌다"고 말했다.

이어 "기존 경기 요인에 의존하기보다는 물가 동학의 구조적 변화와 함께 미시정책 변경 등 품목별 특이요인의 파급효과를 정확하게 파악하는 게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syjeon@yna.co.kr

(끝)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에서 12시 00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