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연합인포맥스) 이효지 기자 =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국내 부동산 시장이 침체하기 시작했다며 금융 규제 완화 등의 정책 수단이 필요하다는 진단이 나왔다.

한국건설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27일 '코로나19 사태의 부동산경기 파급효과 및 대응 방안' 보고서를 통해 주택 거래량 감소에 따른 부동산 산업의 파급효과를 분석했다.

보고서는 사스(SARS·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 발병(-3.0%), 금융위기(-19.8%) 수준으로 주택 거래량이 감소할 경우 민간 소비지출이 연간 0.23~1.50% 감소할 것으로 추정했다.

특히 비주거용 부동산 시장이 코로나19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아 거래 감소 및 자산가치 하락, 금융부실 확대 등의 형태로 리스크가 커질 것으로 우려했다.

일본 리츠(REITs·부동산투자회사) 지수의 경우 올림픽 연기로 5개월 만에 반 토막이 났다가 소폭 회복하는 등 해외 상업용 부동산 가격은 증시보다 하락폭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허윤경 건산연 연구위원은 "해외 사례를 종합하면 우리 부동산 시장 침체는 시작 단계로 이해할 수 있다"며 "최근 기관투자자들이 해외 부동산을 다수 취득해 우려가 크다"고 말했다.

그는 "코로나19에 따른 부동산 시장 침체가 경제 위기로 이어질 수 있는 만큼 금융과 세제 정책을 통해 수요자를 위한 자금을 지원하는 한편 기존 사업의 속도를 높이고 신규 사업을 활성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허 위원은 "단기적으로 사업자금이나 생활자금 대출 목적에 한해 주택담보대출비율(LTV)을 한시적으로 확대하고 채무를 유예하는 등의 조치가 필요하고 중장기적으로는 3기 신도시 등 기존 개발계획을 조기 추진하고 정비·분양사업에서의 불합리한 규제를 개선해 주택 부족 문제에 대비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정부가 계획하고 있는 '코로나 뉴딜'에서도 도시 인근 물류인프라 확충, 저이용 부동산 용도변경 등에 정책적으로 지원해 산업구조 개편과 도시경쟁력 향상을 동시에 도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hjlee2@yna.co.kr

(끝)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에서 13시 00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