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정선미 기자 = 위안화 강세가 미국과 중국의 추가적인 환율 갈등 국면을 만들어낼 것이라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2일(미국시간) 진단했다.

인민은행이 위안화 강세에 대한 불만을 점차 드러내고 있는 상황에서 위안화가 더 절상되는 것을 막으려는 시도가 나타난다면 환율조작을 둘러싸고 충돌의 씨앗이 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최근 위안화는 달러당 6.38위안을 나타내며 2018년 이후 최고치에서 움직이고 있다. 5%만 더 절상되면 역사적 고점까지 오르게 된다.

이미 지난 1년간 12% 가까이 올랐다.

위안화의 가파른 상승세가 지속되면서 인민은행은 지난달 31일 외화예금 지급준비율을 인상하기로 했다. 앞서 인민은행 전 당국자들은 관영매체를 통해 위안화의 최근 강세가 지속 가능하지도 바람직하지도 않다고 언급했었다.

매체는 인민은행이 위안화 강세에 명백하게 불만을 드러내고 있는 점을 고려하면 지난해 외환보유액이 별다른 변화를 보이지 않는 것은 주목할 만하다고 지적했다.

지난 2000년대와 2010년대 초반 중국의 대규모 무역흑자는 대규모 외환보유액 축적으로 이어졌기 때문이다.

2020년 초 이후 중국의 외환보유액은 달러화 기준 2.9% 늘어났다. 같은 기간 한국과 대만이 각각 10.6%, 13.2% 늘어난 것과는 대조적이다.

양국은 팬데믹 기간에 중국과 마찬가지로 견조한 수출 증가와 통화 강세를 경험했다.

표면적으로만 볼 때 이는 인민은행이 위안화 절상을 막기 위해 시장에 크게 개입하지 않았음을 시사한다.

그러나 다른 지표를 보면 상황은 더 복잡해진다고 매체는 지적했다.

작년 4분기 중국의 국제수지를 보면 준비자산은 완만하게 늘었으나 두 개의 카테고리에서 자산이 급증했다.

하나는 '기타 투자(other investment)'로 직접 투자나 포트폴리오 투자, 준비금 등으로 분류되지 않는 것을 포함한다.

두 번째는 '오차 및 누락' 항목으로 사실상 국제 수지의 균형을 맞춰주는 부분이다.

지난해 4분기 두 가지 항목을 합하면 2천억 달러로 사상 최고치를 나타냈다.

유출의 일부는 중국 내 차입자가 달러화 약세와 위안화 강세를 이용해 달러화 채무를 상환한 것일 수 있다고 매체는 분석했다.

중국의 새로운 부채는 '기타 투자' 항목의 '대출'로 분류된다. 이는 작년 1분기 130억 달러에서 4분기에는 마이너스(-) 440억 달러로 감소했기 때문이다. 대규모 상환이 일어났다는 뜻이다.

매체는 그럼에도 여전히 대규모 자금 유출 잔여분이 있어 의문이 남는다고 지적했다.

엑산테 데이터의 선임 전략가이자 연방준비제도(Fed·연준) 경제학자를 지낸 알렉스 에트라는 국제수지에서 앞서 언급된 2가지 항목은 시중은행의 순 외화자산 축적과 대체로 일치한다고 지적했다.

인민은행은 실제로 국유은행에 외환시장 개입을 맡기면서 스스로 개입하지 않고, 이에 따른 관심도 막아내고 있다.

위안화 강세에 저항하고자 이런 방법을 쓰는 것은 외환보유액 축적보다 주목을 덜 받는다.

매체는 그러나 실제로 이런 일이 일어나고 있는 것이라면 미국 재무부의 관심을 벗어나지는 못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제는 중국 외환시장뿐만 아니라 정치적 갈등이 어떻게 전개되는지 보려면 중국의 국제수지 세부항목에도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smjeong@yna.co.kr

(끝)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에서 2시간 더 빠른 13시 38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