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연합인포맥스) 이효지 기자 = 지난 1년간 서울 국민평형(국평·전용면적 84㎡) 아파트 전셋값이 1억원 이상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전세난으로 매매 이전 수요가 촉발돼 집값이 재차 상승하는 악순환이 우려된다.

27일 KB국민은행 리브부동산에 따르면 지난해 7월 이후 이달까지 서울 아파트 전세가격은 ㎡당 157만원 상승했다.

이를 국평으로 환산할 경우 1억3천200만원으로, 전국 아파트 전셋값 상승폭의 2배를 웃돈다.

종로구와 중랑구, 구로구, 금천구, 영등포구를 제외한 20개 자치구에서 전셋값이 1억원 넘게 올랐고 서초구는 1년 전과 비교해 전셋값이 2억1천900만원 뛰었다.

이밖에 강남구(1억8천800만원), 송파구(1억7천600만원), 용산구(1억5천800만원), 성동구(1억4천700만원) 등이 서울 평균보다 높은 가격 상승세를 보였다.





강남3구와 마용성(마포·용산·성동구) 등 학군이나 교통 등 정주여건이 좋은 지역으로 수요가 집중된 영향으로 풀이된다.

마포구의 한 공인중개사 대표는 "여의도나 도심으로 출퇴근이 편리해 수요층이 두꺼운 지역이라 대부분 임대인이 부르는 가격에 계약이 되고 있다"고 말했다.

서초구는 정비사업 이주수요로 최근 몇 달 새 상승폭이 크고 다른 지역들도 임대차 2법(계약갱신청구권, 전월세 상한제) 시행 이후 전세난이 본격화한 작년 가을 이후 꾸준히 상승폭을 키웠다.





하서진 하나금융경영연구소 수석연구원은 "재건축 2년 실거주 요건이 폐지됐으나 기존 임대인의 실거주로 단기간 내 전세매물이 증가할 가능성은 크지 않다"며 도심 내 교통 요충지, 학군 우수지, 직주근접지 내 전세수요가 여전히 높다고 설명했다.

이달 서울의 전세수급지수는 174.3으로 올해 들어 최고치를 기록했다.





1년 전과 비슷한 수준으로 돌아간 것으로 하반기 이사철이 본격화하며 전세 불안이 재현될 가능성이 있다.

계약갱신청구권 행사로 시장에 나오는 매물이 적은 데다 공시가격 상승에 따른 보유세 부담도 임차인에게 전가될 수 있기 때문이다.

전셋값 상승은 매매가 상승을 동반할 가능성이 크다.

국민은행 WM스타자문단 박원갑 수석부동산전문위원은 "부동산 시장의 주요 플레이어인 30대는 전세난에 집을 사고 있는데 전세난이 당장 해소되긴 어려워 집값 상승이 끝물이라고 보기 이르다"고 말했다.

여당은 갱신 계약과 신규 계약 간 전셋값 격차를 막고자 신규 임대차 계약에도 상한제를 도입하는 방안을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해 더불어민주당 이원욱 의원이 신규 계약에도 5% 상한을 적용하자는 법안을 냈으나 당정은 전·월세 시장이 계속 불안할 경우 사용할 카드로 남겨둔 바 있다.

hjlee2@yna.co.kr

(끝)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에서 08시 31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