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이수용 기자 = 지난해 말 국내 은행의 연체율이 고개를 치켜드는 상황에서 지방은행의 가계 연체율이 큰 폭의 상승률을 보였다.

15일 금융권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 기준 부산·경남·대구·전북·광주 등 5개 지방은행의 평균 가계 연체율은 0.46%였다.

이는 지난 2013년 3분기 0.49% 이후 가장 높은 수치다.

5개 지방은행 중 특히 JB금융지주 계열사인 전북은행과 광주은행의 가계 연체율이 가장 높았다.

전북은행과 광주은행의 작년 4분기 가계 연체율은 각각 1.04%, 0.45%로 각각 2014년 1분기 1.07%, 2012년 3분기 이후 가장 높은 수치다.




4대 시중은행의 가계 연체율은 작년 4분기 기준 평균 0.19%로 2020년 3분기 0.20% 이후 가장 높았으나 지방은행과 비교해 상대적으로 적은 상승 폭을 보였다.

지방은행의 경우 대출 포트폴리오에서 중소기업 비중이 높아 가계가 차지하는 비중이 상대적으로 적은 편이다.

다만, 최근 몇 년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이후 가계 취약차주에 대한 정책 지원이 강화되면서 가계 대출 내 햇살론 등 취약차주 대출 비중이 늘어났다.

한 지방은행 관계자는 "포용금융과 중금리대출이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어 금리 인상과 고물가, 저성장에 따라 연체율이 높아졌다"며 "리스크 관리와 유연한 상품 변경을 통해 연체율을 관리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금리 인상 및 경기 둔화에 따라 서민금융 등 취약 차주에 대한 리스크가 나타나는 상황이고, 수도권보다는 각 지역에 영업기반을 둔 지방은행에서 연체율이 두드러진 셈이다.

김기홍 JB금융 회장 또한 지난 실적발표 컨퍼런스콜을 통해 "특히 1월에 연체율이 예상보다 높았고, 이에 따라 다각적인 대책을 마련했다"며 "2월 들어서는 1월보다 낮아졌으나, 긴장의 끈을 놓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5개 지방은행의 가계 대손충당금 합계는 작년 9천20억원으로 전년 5천700억원 대비 58.2% 증가했다.

다만, 이런 취약차주 연체율의 경우 정부의 정책 대응에 따라 방향성을 달리할 수 있다는 지적도 나왔다.

정부가 긴축 스탠스를 이어간다면 리스크로 불거질 수 있고, 취약차주 재정 지원과 경기 연착륙 정책을 강화하면 정상화될 수 있다는 것이다.

한 금융업 연구원은 "은행들도 보수적으로 충당금을 적립했다고 생각할 것이기 때문에 적정 수준인지는 지켜봐야 한다"며 "특히, 가계 대출 연체율의 경우 향후 정부의 취약차주 지원 정책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정책 영향에 따라 달라질 것"이라고 짚었다.

감독 당국 또한 지방은행의 리스크에 대해서 주목하고 있다.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은 전일 임원 회의에서 "고금리로 어려움을 겪는 취약 서민·중소기업 차주들이 위기를 극복할 수 있도록 은행권이 실효성 있고 구체적인 지원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며 "차주의 부실을 미연에 방지하고 장기적인 성장을 유도함으로써 은행의 건전성 측면에서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금감원 관계자는 "충당금과 연체율 등을 유심히 보고 있다"며 "올해 내내 모니터링하면서 리스크에 대비한 적정 충당금을 쌓았는지 모니터링할 것"이라고 말했다.

sylee3@yna.co.kr
(끝)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에서 08시 37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