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한종화 김정현 기자 = 오는 9월 우리나라 국고채 시장의 세계국채지수(WGBI) 편입이 불발될 경우 파장이 커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17일 연합인포맥스에 따르면 현재 채권시장 일각에서는 우리나라 국고채 시장의 올해 9월 WGBI 편입 가능성을 불안하게 바라보는 시선이 존재한다.

외국인들의 국채 통합계좌 시스템인 유로클리어 등 제도적 장치가 아직 완비되지 않았고, 중국 등 다른 나라 사례에서도 관찰 대상국에 오른 뒤 정식 편입까지 더 많은 시간이 소요됐기 때문이다.

우리나라는 지난해 9월 영국 파이낸셜타임스스톡익스체인지(FTSE) 러셀이 관리하는 WGBI 관찰대상국에 포함됐고, 올해 3월에는 조기 편입이 불발됐다.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지난 3일 외신과의 인터뷰에서 통상적인 시간표대로라면 WGBI 편입은 올해가 아닌 내년 9월이라며 이를 앞당기도록 노력하겠다는 입장을 밝힌 바 있다.

올해 3월 불발 당시 시장의 충격은 크지 않았다. 이른 시기의 편입은 절차상 어려울 것으로 예상됐기 때문이다.

다만 올해 9월은 편입 가능성이 살아있기 때문에 예상과 달리 편입이 거부될 경우 금융시장이 충격을 받을 가능성이 있다.

우선 민감한 시장인 외환시장에서 달러-원 환율이 오를 수 있다는 분석이 제기된다.

외국계 은행의 한 본부장은 "해외에서 외국인 고객들을 만나면 WGBI의 9월 편입도 쉽지는 않을 것이라고 본다"며 "다만 편입 가능성도 있기 때문에 현재 달러-원 환율에 하락 요인이 되고 있는데 편입이 안 될 경우 환율이 뛸 수 있다"고 설명했다.

달러-원 환율의 상승은 한국은행의 통화정책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환율 안정의 필요성이 커지면서 한은의 금리 동결 시기가 길어지고, 이에 따라 경기 대응을 위해 기준금리를 내리는 시점은 뒤로 밀릴 수 있다.

한은은 이미 올해 성장률이 기존 예상치인 1.6%를 하회할 것으로 보인다며 하향 조정을 예고해 둔 상황이다.

우리나라 성장률을 뒷받침해줄 것으로 예상됐던 중국의 리오프닝 효과에 대한 기대감도 일부 수그러들었다. 중국 경제는 4월 소비자물가지수(CPI)와 생산자물가지수(PPI)가 각각 0.1% 상승과 3.6% 감소를 기록하는 등 디플레이션 징후마저 나타내고 있다.

윤여삼 메리츠증권 연구원은 "만약 WGBI 9월 편입이 어려워지는 경우 달러-원 환율에는 상방 압력이고 그것 때문에 통화정책상 부담 요인이 될 수 있다"면서 "다만 통화정책은 그 시점의 우리 경기 여건을 보고 움직여야 되는 것이고 미국의 통화정책 기조도 동시에 봐야 하기 때문에 WGBI 만으로 단언하기는 어렵다"고 말했다.

윤 연구원은 또 "9월 WGBI 편입에 대해 여전히 정부가 노력하고 있기 때문에 부정적으로 말하기는 이르다"면서 "원론적으로 봤을 때는 올해 하반기에 환율이 안정될 것이라는 논거 중 하나가 WGBI 편입이었기 때문에 무산되는 경우 환율 안정이 지연될 수 있다"고 전했다.

하건형 신한투자증권 연구원은 "기대치를 하회한 중국 물가가 봉쇄 완화 이후에도 수요 회복이 미약하다는 점을 시사하면서 경기 낙관론을 훼손했다"며 "재화 수요 부진은 대외 낙수효과의 약화를 야기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다만 WGBI의 편입이 불발되더라도 별다른 충격이 없을 것이라는 주장도 있다.

금융시장이 9월 편입을 완전히 확신하지는 않기 때문에 불발의 경우도 이미 마음의 대비를 하고 있다는 설명이다.

실제로 외국인의 우리나라 상장채권 순매수 규모는 4월 8조2천631억 원 늘었고, 5월은 이미 9조5천824억 원을 기록하는 중이다. 총 잔고는 235조 원이 넘는다.

금융시장의 한 관계자는 "WGBI 편입 여부 때문에 외국인이 불안해한다면 국채 투자 유입이 이렇게 강하지는 못할 것"이라며 "9월 편입이 안 되더라도 시장이 크게 흔들리지는 않을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자료사진


jhhan@yna.co.kr
jhkim7@yna.co.kr

(끝)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에서 2시간 더 빠른 08시 36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