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 연합뉴스 자료사진]


(서울=연합인포맥스) 박경은 기자 = 국내 보험사에서 대출받은 사람 3명 중 1명은 다중채무자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대출자 중 취약 차주 비중이 높기에, 보험사의 대출채권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이석호 한국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17일 '국내 보험사 대출채권의 잠재 위험 요인 점검 및 시사점'이라는 보고서에서 이러한 분석 내용을 발표했다.

이 선임연구위원의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말 차주 수 기준 보험사의 다중채무자 비중은 32.1%다. 다중채무자는 3개 이상의 금융회사에서 대출받은 사람을 말한다.

저축은행(38.3%), 카드사(33.7%)보다는 낮으나, 은행(10.4%), 캐피탈(28.7%), 상호금융(14.8%)에 비해 각각 3.1배, 1.1배, 2.2배가량 높은 수치다.

또한 보험사 다중채무 차주의 대출잔액은 제2금융업권 중 두번째로 높은 수준이다.

이 선임연구위원은 "보험업권의 경우 가계대출 차주 중 다중채무자, 저신용등급층 및 저소득층 등 소위 '3대 취약차주'의 비중이 낮지 않다"며 "특히 다중채무자의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인 점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고 짚었다.

저신용등급층이 차지하는 비중의 경우에도 보험사는 14.3%로 집계돼 카드사·캐피탈사보다는 낮으나, 은행 및 상호금융에 비해서는 높은 수치를 보인다.

대출자 중 저소득층이 차지하는 비율 역시 40.2%로 은행·상호금융·캐피탈에 비해 높다.

다만 이 선임연구위원은 "보험사 가계대출의 경우 보험사 입장에서 확실한 담보(해약환급금)가 있어 손실위험이 없는 특성을 가진 보험계약대출의 비중이 작지 않은 점을 감안한다면, 다른 금융업권에 비해 상대적으로 부실 발생에 따른 손실 위험 부담이 낮을 것으로 여겨진다"고 분석했다.

보험사의 지난해 3분기 말 기준 부실채권 금액은 8천500억원, 자본총액은 168조원으로 자본총액 대비 부실채권의 비율은 0.5% 수준이다. 직전 연도 동기와 비슷한 수치이며, 같은 제2금융권의 부실채권 비율보다는 현저히 낮다.

다만 보험사의 대출채권 부실에 대한 직접적인 손실 흡수능력을 나타내는 '고정이하여신 대비 대손충당금 적립 비율'의 경우 지난해 9월 말 기준 생명보험사는 158.1%, 손해보험사는 89.2%로 집계됐다.

이 선임연구위원은 "특히 손해보험사의 경우 이 수치가 100%를 하회하고 있다"며 "일부 중소형사의 경우 70%에도 못 미치는 것으로 나타남에 따라 이에 대한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고 봤다.

아울러 보험사의 기업 대출 중 부동산PF대출의 경우 전 금융업권 중 그 규모가 은행 다음으로 크다. 다만 연체율 수치가 크게 높지 않으며, 다른 제2금융업권 회사들에 비해 부실 위험성이 상대적으로 낮은 PF대출 형태 위주로 취급하고 있는 점은 긍정적이다.

이 선임연구위원은 "현재까지 전반적으로 가계대출을 비롯한 대출채권의 증가세가 안정적으로 관리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며 "향후에도 대출 영업의 과당경쟁이 발생하지 않도록 보험사 및 감독 당국 차원의 지속적인 노력과 모니터링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gepark@yna.co.kr

(끝)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에서 13시 53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