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김경림 기자 = 국내 대표 IT 기업인 네이버와 카카오가 모두 해외에서 블록체인 사업을 확대하고 있다. 정부가 여전히 '공공성 있는 블록체인'만 강조하며 가상화폐공개(ICO)는 철저히 막고 있어 기술력이 해외로 빠져나가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30일 업계에 따르면 네이버 자회사 라인은 최근 싱가포르에 암호화폐 거래소 비트박스를 설립했다.

자체 블록체인 플랫폼을 만들고 이를 활용하는 사용자에게 보상하기 위해 자체 통화를 인센티브로 제공하겠다는 의도다. 현재는 비트코인, 이더리움, 비트코인 캐시 등 30개 종의 가상화폐를 거래하고 있다.

앞서 네이버 라인은 올해 4월 라인 블록체인 랩(lab)과 토큰 설계 자회사 언블락(unblock)을 각각 설립한 바 있다. 언블락은 홍콩에서도 토큰 관련 벤처 펀드를 설립한 것으로 전해졌다.

카카오 역시 블록체인 플랫폼을 상용화하면 ICO를 추진할 계획이다. 하지만 국내에서는 아예 불가능하기 때문에 본사를 일본에 세웠다. 국내에서는 삼성동에 사무실만 두고 있다.

네이버와 카카오뿐만 아니라 국내 블록체인 스타트업 업체까지도 해외로 눈을 돌리고 있다는 게 업계 관계자들의 전언이다.

이들이 가장 큰 걸림돌로 여기는 이슈는 ICO 문제다.

현재 정부는 ICO를 원천적으로 금지하고 있다. 가상화폐의 투기성이 문제가 된다는 것인데, 블록체인 자체가 블록을 쌓으면 그에 대한 보상 등으로 코인을 지급하는 개념이라는 점에서 '공공성 있는 블록체인'이라는 개념은 유인이 떨어진다.

실제로 네이버와 카카오는 당초 연내 자체 블록체인 플랫폼을 공개하려 했으나 정부의 입장이 확실치 않아 이를 차일피일 미루고 있다.

이에 국내 블록체인 업계에서는 현재 계류 중인 관련 법안이 오는 9월 정기 국회에서 제대로 처리될 수 있을지 주목하고 있다.

블록체인, 가상화폐와 관련해서 국회에 제출된 법안은 ▲암호통화 거래에 관한 법률안 ▲가상화폐업에 관한 특별 법안 ▲전자금융거래법 일부개정안 등으로 암호화폐의 정의와 취급 방법, 이용자 보호 등은 내용을 공통으로 담고 있다.

한 블록체인 업계 관계자는 "가상화폐 발행을 하고자 하는 블록체인 회사의 결제 계좌를 국내 은행으로 지정하는 방법도 검토해볼 수 있다"며 "이렇게 하면 블록체인 회사의 해외 유출도 막고 국내 투자자도 보호할 수 있을 것"이라고 조언했다.

klkim@yna.co.kr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