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남승표 기자 = 정부는 추석을 앞두고 나올 주택공급대책에서 프로젝트 파이낸싱(PF) 사업장 관련 내용도 담을 것이라고 예고했다.

올해 초 정부에서 PF 보증 공급을 대폭 늘렸음에도 PF 착공 전환이 지연되는 것이 사업성 때문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기업에 대한 특혜시비를 피하면서도 사업수지를 맞춰줄 수 있는 묘수가 필요한 상황이다.

20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나이스신용평가는 이달 초 발간한 보고서에서 "6월말 기준 주요 건설사들의 외주사업 관련 PF 보증규모는 20조원을 상회하는 등 여전히 PF 우발채무 부담은 높은 수준을 지속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나신평은 "2020~2021년 부동산 호황기에 주택사업규모를 공격적으로 확대한 일부 건설사의 경우 PF 우발채무가 크게 증가하고 이 과정에서 지방사업장 비중도 높아진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주택사업 PF는 토지확보와 인허가 단계에서 자금을 지원하는 브리지론PF와 착공 이후 공사비 등을 지원하는 본PF 등으로 나눠볼 수 있다.

이른바 9월 위기설의 진원이 된 것은 브리지론PF다. 토지확보 이후 인허가까지의 짧은 기간을 대상으로 하다보니 만기가 3개월 이내여서 분기 단위로 위기설이 떠도는 배경이다.

브리지론PF를 해소하려면 본PF로 전환해 착공에 들어가야 하는데 정부의 PF보증확대에도 속도가 더디다. 특히 지방사업장의 경우 사업성이 나오지 않다보니 본PF 전환이 이뤄질 수 없다.

주택도시보증공사의 주택정보포털 하우스타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전국 아파트 초기 분양률은 49.5%로 2019년 이후 최저다. 수도권과 광역시를 제외한 기타지방은 29.5%다.

2분기 들어 전국 초기분양률이 71.6%로 개선됐지만 대구 28.5%, 대전 22.2%, 전남 9.7%, 경북 25.8% 등 30%도 안 되는 곳이 즐비했다.

[출처: 나이스신용평가]

 


나신평은 일부 지역에서는 미분양 관리를 위해 분양 자체를 연기하고 있다면서 실질적인 미분양 위험은 더 크다고 분석했다.

원희룡 국토교통부 장관은 지난 18일 기자간담회에서 주택공급대책과 관련해 "PF 부분은 총량을 늘려줘야 넉넉히 가기 때문에 늘릴 것"이라고 말했지만 실제 필요한 부분은 사업성 개선 방안에 있는 셈이다.

업계에서는 정부가 실효성 있는 대책을 제시할 수 있을지 회의적인 반응을 보였다. 지원이 필요한 지방 사업장의 경우 주택가격 상승 기대가 없기 때문에 수요를 자극하기 어렵고 사업성 확보도 용이하지 않은 까닭이다.

박영도 다올투자증권 애널리스트는 "작년 하반기부터 본PF가 막혀 있다. 이것이 해결방안이 있는지 의문이다"며 "필요한 것은 PF의 직행이지 만기연장이 아니다"고 말했다.

spnam@yna.co.kr

(끝)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에서 09시 20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