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이재헌 기자 = 국내 인구구조 변화와 함께 장기적으로 부동산값이 안정될 것이라는 전망이 제기됐다. 도시화율이 한계에 달해 앞으로는 대규모 개발수요도 줄어들 것으로 예측됐다.

이형찬 국토연구원 토지정책연구센터장은 11일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제1회 부동산 산업의 날' 콘퍼런스에서 '부동산 산업의 현재, 그리고 미래 청사진' 주제 발표를 통해 "주택 및 토지시장의 구조변화로 부동산 시장의 만성적인 문제 중 하나였던 부동산 가격이 장기적으로 안정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는 "비록 수요-공급 불균형이 지속하는 특정 지역에서 부동산 가격 상승이 일어나더라도 전국차원의 부동산 가격은 장기적으로 안정될 것"이라고 추정했다.

이 센터장은 부동산 수요에서는 소형주택, 세컨드 하우스, 단독주택, 임대주택 등의 수요가 늘 것으로 전망했다.

국내 1~2인 가구가 빠르게 늘고 4인 이상 가구가 급속히 줄어드는 추세가 영향을 끼칠 것이란 이유에서다. 또 소득 양극화와 주택임대차 시장에서 증가하고 있는 월세가 주거 양극화를 가속화시킬 수 있다는 분석이다.

아울러 삶의 질을 추구하면서 단독주택도 많아질 것으로 봤다. 살고 싶은 주택유형 조사에서 지난 2007년에는 단독주택이 40%였지만, 2011년에는 43.3%로 높아졌다는 통계도 함께 제시했다.

그는 공급 측면에서는 대규모 부동산 개발이 감소할 것으로 예상했다. 과거 가파르게 상승했던 도시화율이 지난 2000년 이후 크게 오르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반면 이 센터장은 생활이 편리한 도시 내에서 거주하기를 원하는 수요에 도시재생 수요나 주택 개보수는 꾸준할 것으로 예상했다. 지난 2010년, 건축 이후 16~30년 이상 지난 주택은 498만호(전체의 35.8%)로 조사됐다.

미래의 새로운 부동산 산업도 거론됐다.

이 센터장은 "부동산 산업이 정보통신기술(ICT), 금융산업, 공간정보산업 등과 융합해 발전하고 있다"며 "임대업 등 새로운 부동산 산업의 성장할 것"이라고 봤다.

그는 "임대수익 변화분석, 재무분석, 금융조달 등 전문적 자산관리에 대한 수요도 커질 수 있다"며 "정보망을 활용한 부동산 거래 및 관리, 고령층을 위한 재산관리 신탁업, 투자자문업, 정보제공업 등 컨설팅 유관산업도 유망하다"고 덧붙였다.

jhlee2@yna.co.kr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