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이재헌 기자 = 정부가 경기·고용 침체에 대응할 수단으로 사회간접자본(SOC) 재정지출을 꺼내 들었다. 전통적 토목중심의 SOC가 아닌 생활혁신·밀착형 SOC가 대상인데 공공 발주가 줄어드는 상황에서 중소형 건설사에 기회가 될 수 있다는 진단과 건설업 분위기를 바꾸는 데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 공존한다.

21일 대한건설협회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국내 건설사의 공공 발주 수주액은 17조2천437억원으로 집계됐다. 전년 같은 기간보다 21.7% 감소했다.

이러한 추세가 하반기까지 이어지면 공공 발주 수주는 글로벌 금융위기의 여파가 닥친 지난 2010년 이후 가장 큰 폭으로 위축된다.





문재인 대통령은 후보 시절부터 대규모 인프라(사회간접자본, SOC)에 투자했던 일본의 사례를 들며 과거의 실패를 되풀이할 이유가 없다고 밝혔다. 이는 SOC 예산 감축이라는 기조로 이어졌고 공공 발주도 늘기 어렵다는 전망이 확산됐다.

국내 경기와 고용이 침체하자 문재인 정부의 SOC는 생활혁신·밀착형으로 확대할 예정이다. 김동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예산 확대를 예고했고 문재인 대통령도 최근 수석보좌관 회의에서 이를 강조했기 때문이다.

도시재생과 연계되는 생활SOC는 7조원가량이 거론된다. 이러한 기조가 중소형 건설사에는 기회가 될 수 있다는 진단이 나온다.

이광수 미래에셋대우 연구원은 "공공 발주 감소는 대형회사보다 중소형 건설사 수주 악화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며 "앞으로 정부 SOC 투자 확대는 중소건설사 실적 개선에 기여할 것이다"고 예상했다.

건설업 전반의 분위기를 바꾸기에 역부족이라는 반론도 만만치 않다.

올해 상반기 민간발주 건설수주는 54조1천783억원으로 공공 발주보다 세 배 이상 많다. 이전 3년간 민간발주 수주가 2.3배가량 넘어설 만큼 공공 발주의 비중이 축소하는 추세다. 도시재생 사업지가 전국 100여개인 탓에 이를 쪼개면 개별 사업지의 SOC 규모가 너무 작다는 지적도 뒤따른다.

한 건설사 관계자는 "체육관과 근린시설 등을 짓는 단기사업은 꾸준한 성장동력과 일자리 창출 수단이 되진 않을 것이다"며 "규모와 부가가치가 작으면 마진도 따라서 내려갈 텐데 국내 건설경쟁력 제고에는 도움이 안 된다"고 우려했다.

김세련 SK증권 연구원은 "생활밀착형 SOC 투자가 주택을 필두로 빠른 속도로 꺾이는 건축부문의 감소폭을 방어하는 데는 역부족이다"고 전했다.

jhlee2@yna.co.kr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