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연합인포맥스) 이효지 기자 = 정부가 수도권 공공택지를 추가로 공급한다고 밝히면서 공공부문과 협업할 수 있는 중견건설사의 수혜가 기대된다.

투기지역 지정 등 추가 규제가 부동산시장에 큰 타격을 주지 못하고 있는 만큼 '똘똘한 한 채'를 겨냥한 대형건설사 수요도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29일 부동산업계에 따르면 정부의 공급확대 정책은 대형사보다는 중견사 이슈가 될 가능성이 크다.

지방 미분양 증가 등으로 단독으로 민간분양을 하기 부담스러운 중견사가 한국토지주택공사(LH) 등 공공부문과 손 잡으면서 사업이 수월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라진성 키움증권 연구원은 "현재 금호산업, 태영건설, 코오롱글로벌 등이 수도권에서 LH와 민간합동사업 확대를 추진하고 있다"며 "지주공동사업에 강점을 보유한 한라 등도 수혜가 예상된다"고 말했다.

채상욱 하나금융투자 연구원도 도시개발이 공공 중심에서 민간 중심으로 바뀌고 있다며 "현 정부의 주택정책 기조상 그린벨트 해제와 신도시 개발을 민간과 공동으로 추진하는 사업은 장래 확장성이 풍부하다"며 디벨로퍼 수혜기업을 주목했다.

다만 공공택지 개발에 긴 호흡이 필요해 당장 구체적인 성과를 얻기는 어렵다.

정부는 공공택지로 역세권, 유휴부지, 보존가치가 낮은 그린벨트 등을 발굴할 계획이지만 서울시는 그린벨트 해제를 탐탁지 않아 하는 등 택지 개발 과정이 순탄치 않다. 그린벨트 해제와 지구지정을 거쳐 최종 입주 때까지 10년이 넘을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는 이유다.

투기지역 추가 지정 여파가 크지 않아 인기 지역, 브랜드 아파트에 대한 선호현상도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서울에서는 다음달 서초우성1차 재건축(1천317호)을 비롯해 12월까지 9천여 가구가 분양될 예정이다.

닥터아파트가 회원 1천여명을 대상으로 설문한 결과 하반기 청약시장을 낙관하는 시각이 48%로 부정적인 전망(16%)을 훨씬 앞섰다.

백광제 교보증권 연구원은 "서울지역의 절대 공급물량이 부족해 투기지역이 확대되더라도 실수요자 중심의 분양시장 열기를 막을 수 없을 것"이라며 "도심의 공급 부족이 이어지며 브랜드를 앞세운 건설사 영향력이 이어질 것"으로 내다봤다.

라 연구원은 "공공택지 개발에 따른 토지보상금 증가로 유동자금의 서울 부동산 유입을 부추길 수 있다"면서 "당분간 인기 지역, 브랜드로 쏠림현상이 유지될 것으로 보이고, 대형사는 양호한 분양실적과 점유율 확대를 기대할 수 있다"고 말했다.

hjlee2@yna.co.kr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