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연합인포맥스) 이효지 기자 = 주택경기 둔화와 해외수주 부진이라는 안팎의 난관에 부딪힌 건설업계가 비핵화를 향한 한반도의 정세변화로 전기를 마련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북미대화가 순조롭게 진행되고 제재해제로 도로, 철도, 개성공단 등 남북경제협력이 단계적으로 확대되면 건설업계의 새로운 수익원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어서다.

12일 정부와 업계 등에 따르면 정부는 지난 9월 평양공동선언에서 합의된 남북 철도·도로 연결 착공식을 연내 개최하고자 북측과 협의 중이다.

북미관계가 교착상태지만 북한이 영변 핵사찰을 수용하고 미국이 제재를 완화하는 데 합의하는 형태로 비핵화 협상이 한 걸음 나아갈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면서 경협에 대한 기대도 꿈틀대고 있다.

김윤서 신한금융투자 연구원은 "현실적으로 내년에는 상반기에 도로, 철도 연결에 착수하고 하반기에 개성공단, 금강산 관광을 재개하는 제한적 수준의 경협이 이뤄질 것"으로 전망했다.

당장 내년에 대규모 공사가 시작되지 않더라도 건설 분야 경협은 시간이 갈수록 규모가 커지고 재원도 다자개발은행 참여 등으로 다양해질 것으로 보인다. 경제적 효과를 따지기 어려웠던 과거 남북 경협사례와 달리 우리 경제에서 남북 경협이 차지하는 비중이 커질 것을 예상할 수 있는 부분이다.

현재 북한은 발전소 등 에너지 시설, 철도, 도로가 노후화해 인프라가 우선 만들어져야 한다. 여기에 건설업계의 역할이 요구된다.

건설산업연구원은 현재 대북 제재가 진행 중인 상황에서 건설 분야 남북 경협은 제한적이라는 데 동의하면서 우선 제재를 받지 않는 북한 인프라 건설에 대한 타당성 조사 작업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박용석 건산연 연구위원은 "인프라 건설을 위한 자본 유치, 국제 금융기관 융자 등을 위해서는 타당성 분석이 반드시 돼야 한다"면서 미국과 유엔(UN) 안전보장이사회 제재위원회를 설득할 사업 대안도 발굴해야 한다고 말했다.

인프라 구축 뒤에는 중국과 베트남 사례처럼 경제특구, 개발구 중심의 개발이 따를 것으로 보인다. 현재 북한에서는 나진·선봉, 신의주, 개성 등을 5대 경제특구로 지정해놓고 있다.
 

 

 

 


문재인 대통령이 9월 평양공동선언에서 서해경제공동특구 및 동해관광공동특구를 조성하는 문제를 협의해나가기로 했다고 밝힌 만큼 남북 접경지역의 특구, 개발구 개발은 한국의 기여가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

주택도 노후주택 비중이 높아 건설 수요가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유승민 삼성증권 연구원은 "중국이 주택시장 자유화한 뒤 중국 건설 시장이 급성장했다. 북한도 개인이 주택을 공급하는 것을 합법화했다"면서 "건설사는 물론 건자재업체도 수혜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hjlee2@yna.co.kr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