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진정호 기자 = 홍콩 당국이 수개월에 걸친 홍콩 시위를 촉발했던 송환법안을 폐기했지만, 그것으로 홍콩 위기가 끝났다고 보면 오판이라고 미국 월스트리트저널(WSJ)이 4일(현지시각) 보도했다.

WSJ은 "캐리 람 홍콩 행정장관이 내놓았던 송환법안은 이번 사태의 원인이 아니라 홍콩이 안고 있는 정치적 문제의 증상에 불과하다"며 "시위대가 오랫동안 기다려왔던 법안 철회에 만족하지 않는다면 투자자들은 충격을 받게 될 것"이라고 진단했다.

신문은 전날 송환법안 폐기가 발표된 후 홍콩 항셍지수가 4% 가까이 급등하는 등 기대감을 드러냈으나 정치적 위기가 홍콩 경제로 전이됐다는 명백한 신호가 포착되고 있다고 전했다.

홍콩 경제는 이미 심각한 침체기로의 시작점에 있다.

지난 8월 중순 발표된 홍콩 2분기 국내총생산(GDP) 확정치도 전년 대비 0.5% 성장하는 데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글로벌 금융위기 직후였던 2009년 3월 이후 최악의 분기 성장률이다.

IHS마킷의 홍콩 구매관리자지수(PMI)도 지난 8월 40.8을 기록했다. 이는 경기 확장과 위축을 가르는 기준선 '50'을 크게 밑도는 것으로 일반 기업들이 홍콩 경기를 그만큼 좋지 않게 본다는 뜻이다. 구매 활동도 21년 만의 최저점을 기록했다.

WSJ은 "홍콩 시장은 4일 주가지수가 폭등하기 전에도 GDP의 4% 하락과 같은 악재를 제대로 가격에 반영하지 않았다"며 "FTSE로컬홍콩 지수는 1년래 최저치에 도달하지도 않았다"고 지적했다.

신문은 PMI 지수가 과거에도 과장된 신호를 보낸 적도 있지만, 경기심리가 전반적으로 우울한 데다 람 장관의 송환법안 철회가 위기 해소로 이어진다고 장담할 수 없는 만큼 투자자들은 더 경계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다만 일부 지표는 경기 침체와 거리가 있는 신호를 보내고 있기도 하다.

홍콩 부동산 개발업체들의 향후 12개월 주가순자산비율(PBR)도 여전히 0.68을 기록하고 있다. 이는 2012년 이후 해당 업종이 유지해 온 평균치 0.72와 거의 차이 나지 않는 수준이다.





jhjin@yna.co.kr

(끝)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에서 2시간 더 빠른 08시 54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