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라인 세상이지만 가끔 오프라인 서점에 들러 잘 팔리는 책들을 둘러보는 재미가 쏠쏠하다. 인기 도서들 중에 눈에 띄는 책이 '부자 아빠, 가난한 아빠' 20주년 특별 기념판이었다. 20여년 전 그 책은 필자에게 투자의 의미를 각인시켜 주었다. 특히 두 아빠의 명확한 대비와 '부자들은 돈이 자신을 위해 일하게 만든다'는 첫 번째 교훈이 인상적이었다. 부동산, 주식, 가상화폐 등에 대한 관심이 뜨거운 지금, 투자는 어떻게 해야 하나?

먼저 투자는 꼭 해야 하는 것인가부터 다시 생각해보자. 우리나라에는 투자를 생각할 수 없는 적자가구가 전체의 4분의 1에 달하므로 4분의 3 정도의 가구에 해당되는 얘기이다. 투자를 하지 않는다는 것은 경제활동을 하는 개인 입장에서 재산소득 없이 노동소득만을 얻는 것을 의미한다. 투자 여부를 결정하는 중요한 변수는 재산소득과 노동소득 증가율 차이인데, 지금까지의 데이터 분석 결과는 전자가 더 크다는 것이다.

'21세기 자본론'의 저자 토마 피케티는 자산수익률(r)이 경제성장률(g) 보다 커지면서 부와 소득의 불평등이 심화됨을 밝혔다. 최근 전미경제연구소의 한 보고서(NBER WP 24112)도 1870년부터 2015년까지 미국, 영국, 독일, 프랑스, 일본 등 16개 선진국들의 주식, 주택, 그리고 국채의 실질 수익률 분석을 통해 자산수익률이 성장률보다 크다는 점을 입증했다. 경제성장률이 노동소득 증가율과 같다고 보면, 재산소득 증가율이 역사적으로 더 높았다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지난 150년 동안 16개 국가의 평균 실질 성장률은 3.0%, 실질 자산수익률은 6.0%로, 양자의 차이는 3.0%포인트였다. 두 차례의 세계대전 기간을 제외하면 그 차이는 3.8%포인트로 확대된다. 또한 그 갭은 성장률과는 마이너스(-), 자산수익률과는 플러스(+)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저성장일수록 갭은 더 커진다는 얘기이다. 성장률은 변동성이 높은 반면, 자산수익률은 매우 안정적이다. 투자를 해야 하는 이유가 더 분명해진다.

그렇다면 어떻게 투자해야 하나? 개인의 재산 상태, 현재와 미래 소득, 위험성향, 투자기간 등이 다 다르기 때문에 정답은 없다. 하지만 다른 조건이 동일하다면 수익성이 높은 자산에 대한 투자가 좋다고 얘기할 수 있다. 만약 과거의 장기 성과에 기초하여 주택, 주식, 채권 등의 자산군(asset class) 중에 투자대상을 고른다면 어떨까? NBER의 연구 결과는 주택과 주식의 조합이 가장 좋았다고 얘기한다.

1870년 이후 주택과 주식의 연평균 실질 수익률은 약 7%로 비슷했다. 기간별로는 차이가 있었는데 2차 세계대전 이전에는 주택이, 이후에는 주식이 더 높은 수익률을 보였다. 2차 세계대전 이후 주식은 높은 수익률(평균)과 동시에 높은 변동성(수익률의 표준편차)을 수반했고, 경기변동과 밀접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주식의 총수익률은 안정적인 배당수익률과 불안정한 자본수익률로 나눠지는데 후자의 비중이 더 컸기 때문이다.

반면 주택은 실질 수익률이 높고 안정적이었다. 주식의 배당에 해당하는 임대수익률이 높고 안정적인 반면, 가격변동에 따른 자본수익률은 1% 정도로 낮았기 때문이다. 주식과 주택 수익률의 특성이 이렇듯 상반되다 보니 둘 사이의 공분산은 매우 낮게 나타났다. 이 둘을 동시에 보유할 경우 위험분산 효과가 있다는 얘기이다. 이는 안정적이면서도 높은 수익성을 보이는 주택과 변동성과 수익성이 높은 주식으로 장기 포트폴리오를 구성하는 게 바람직함을 의미한다.

주택과 주식의 공통점은 가격 하락으로 인해 투자원금의 손실을 볼 가능성이 있는 위험자산이라는 것이다. 이러한 위험 감수에 대한 보상으로 프리미엄이 주어진다. 장기적으로 실질 경제성장률이 하락하고 저금리기조가 고착화되면서 이러한 위험 프리미엄이 줄어든 것은 아닐까? 우려와는 달리 2차 세계대전 이후 위험 프리미엄은 4~5%로 안정적이었다. 수준이 낮으면서도 변동성이 높았던 안전자산인 국채 수익률과 명확히 대조되는 부분이다.

지금까지의 논의를 요약하면 투자 여력이 있는 개인들은 투자를 해야 하고, 주택과 주식으로 포트폴리오를 구성하는 게 좋다는 것이다. 한편, 국가는 이에 대해 어떠한 정책을 취해야 하는가? 피케티처럼 부와 소득의 불평등을 완화하기 위해 재산과 재산소득에 대해 누진적으로 높은 자본과세를 부과할 수 있고, 개인의 투자와 자산축적을 지원하기 위해 인센티브를 제공할 수도 있다. 물론 양자의 조합 또는 다양한 조합이 가능하고, 그게 현실이다.

중요한 것은 우리나라 개인들이 국가의 투자와 재산 관련 정책에 대해 어떻게 느끼는가 하는 점이다. 재산소득과 노동소득을 이분법적으로 구분하고, 전자를 불로소득으로 죄악시한다고 느끼고 있지는 않는가. 일반적인 개인들은 경제적 자립을 기반으로 자신의 행복을 추구한다. 4차산업혁명 시대 기본소득이 중요한 화두이긴 하지만, 개인이 자유롭게 투자하고 자산을 축적하도록 지원하는 '자산기반 복지(asset based welfare)'와의 조화를 진지하게 고민해야 한다. (배현기 웰스가이드 대표)

※칼라무스는 '펜은 칼보다 강하다(Calamus Gladio Fortior)'라는 라틴어 문장에서 따온 말입니다.





(끝)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에서 13시 30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