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손지현 기자 = 지난 2017년부터 올해까지 최근 5년간 금융업권 임직원 181명이 1천192억원을 횡령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환수율은 32%에 불과한 것으로 집계됐다.

20일 국민의힘 강민국 의원실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받은 '국내 금융업권 임직원 횡령 사건 내역'에 따르면 지난 2017년부터 2022년 8월까지 금융업권에서 횡령을 한 임직원 수가 무려 181명에 이르고, 이들이 횡령한 금액만도 1천192억4천만원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연도별로 살펴보면 ▲2017년 89억8천900만원(45명) ▲2018년 56억6천800만원(37명) ▲2019년 82억8천400만원(28명) ▲2020년 20억8천300만원(31명) ▲2021년 151억2천400만원(20명)이었다. 2022년은 8월까지 790억9천100만원(20명)이었다.

업권별로 보면 횡령한 임직원의 수는 은행이 97명(53.6%)으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보험 58명(32.0%), 증권 15명(8.3%), 저축은행 8명(4.4%), 카드 3명(1.7%) 순이었다.

횡령한 금액 규모 역시 은행이 907억4천만원(76.1%)로 가장 컸다. 그 다음으로는 저축은행(149억7천140만원), 증권(86억9천600만원), 보험(45억7천500만원), 카드(2억5천600만원) 순으로 많았다.

업권별로 횡령 임직원 수를 살펴보면 은행의 경우 하나은행이 18명으로 가장 많았다. 보험은 동양생명(8명), 증권사는 NH투자증권(4명), 저축은행은 참저축은행(2명)이 가장 많았다.

횡령 규모로 보면 우리은행이 716억5천710만원에 달해 전 업권 중에서 가장 많았다. 보험은 KB손해보험(12억300만원), 카드는 우리카드(2억5천100만원), 저축은행은 KB저축은행(77억8천320만원), 증권은 NH투자증권(40억1천200만원)이 횡령 규모가 가장 컸다.

다만 환수 실적은 저조했다.

지난 2017~2021년의 기간 동안 금융업권의 횡령액은 401억4천800만원이었으나 이중 127억800만원만 환수됐다. 환수율이 31.7%밖에 되지 않은 셈이다. 특히 저축은행의 경우 환수율이 9.6%에 불과했다.

금감원은 최근 금융권 직원의 횡령 사고에 대해 대출 서류 위조, 계약자 정보의 무단 도용 및 변경, 외부 수탁업체에 대한 관리 소홀 등으로 인해 발생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강민국 의원은 "금융업권의 횡령이 만연하고 환수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는다면 여타 직원들에게도 횡령의 유혹이 번져 이성적 판단을 흐리게 할 수도 있기에 반드시 철저한 관리 및 감독과 일벌백계가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강 의원은 "금융위는 금융사의 감사·준법감시 담당 임직원 대상 내부통제 워크숍을 분기별로 늘리고, 최근 은행권 횡령사건을 계기로 제대로 된 금융감독 개선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jhson1@yna.co.kr
(끝)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에서 10시 46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