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정지서 기자 = 최근 예기치 못한 재난 사태가 이어지면서 국내에서도 재보험 시장을 본격적으로 활용해야 한다는 진단이 나왔다.

오병국 보험연구원 연구위원은 12일 '대형 리스크 보장에 대한 OECD의 논의' 제하의 보고서에서 재보험시장을 활용해 보험회사의 재난 리스크를 분산해야 한다고 내다봤다.

지난해 국내에선 홍수와 화재, 이태원 참사 등이 연이어 발생했다. 해외에선 지진과 테러, 사이버공격, 전염병 확산도 이어졌다.

오 연구위원은 "대 재난과 대형 리스크에 대한 정책적 관심이 증가하고 있지만, 보험에 가입되지 않아 재정적 보장 공백이 커지고 있다"며 "보장 공백을 완화하기 위한 정책 수단으로서 민영보험이나 재보험의 역할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 같은 논의는 전 세계적으로 이루어지는 보험산업의 핵심 어젠다 중 하나다.

실제로 OECD 보험 및 사적연금 위원회(IPPC)는 최근 110차 회의를 개최하여 대재난 및 대형리스크에 대한 보험의 역할에 대해 논의하기도 했다. 전 세계 가계와 기업이 각종 재난 리스크에 대한 보험에 가입되어 있지 않은 비율이 여전히 높아서다.

오 연구위원은 "현재로서는 재난의 영향으로부터 회복하기 위해서는 저축, 부채, 재정 지원에 의존해야 한다"며 "보험회사가 재난 리스크에 대한 노출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글로벌 재보험시장을 활용할 수 있도록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어 "코로나19 관련 영업 중단 손해의 약 97%가 보험을 통해 보상받지 못했다"며 "1995년부터 2019년 기간 중 호수 손해의 82%, 지진 손해의 87%도 마찬가지"라고 분석했다.

오 연구위원은 글로벌 재보험시장이 이 같은 리스크를 헤지할 수 있는 중요한 수단으로 봤다.

그는 "글로벌 재보험시장은 재난 리스크로 인한 손실을 흡수해 리스크를 국제적으로 분산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며 "하지만 많은 국가에서 이를 활용하는 데 있어 다양한 제약이 존재한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감독 당국은 원수 보험회사와 재보험사 간의 유기적 협력이 가능하도록 글로벌 재보험시장에 대한 접근성 향상을 지원할 필요가 있다"며 "우리나라 정부와 보험회사는 향후 재난 관련 보장공백 완화를 위한 방안을 마련하는 데 있어 이러한 국제적 움직임을 참조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jsjeong@yna.co.kr
(끝)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에서 12시 00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