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대 금융지주 비은행 기여도 17% 수준
적극적 주주환원·M&A, 상충될 수도…균형 필요

(서울=연합인포맥스) 손지현 기자 = 지난해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상 랠리를 타고 주요 금융지주들이 이자 장사의 호황을 누리면서, 사상 최대 실적을 거두고 곳간을 두둑하게 채운 모양새다.

비은행 강화를 위해 적극적인 인수·합병(M&A)을 검토하고 있는 금융지주에게 기회가 될 것으로 보이는데, 이는 최근 앞다퉈 발표한 강화된 주주환원책과는 배치될 수 있어 금융지주들의 고심도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뿐만 아니라 올해 본격적인 신용리스크 확대 등에 대응하기 위해 금융당국에서 대손준비금 등 부실 방파제 확대에 대한 요청이 꾸준히 이어질 수 있어, 금융지주들은 M&A와 배당 등 '두마리 토끼'를 모두 잡기가 쉽지 않을 전망이다.

◇ 4대 금융지주 비은행 기여도 10%대로 떨어져…M&A 필요성 급증

13일 각사 실적발표 공시에 따르면 KB·신한·하나·우리금융지주 등 4대 금융지주의 작년 비이자이익은 8조7천299억원으로, 전년(11조6천837억원) 대비 25.3% 감소했다.

세부적으로는 해당 기간 신한금융이 30.4% 줄며 비이자이익이 가장 크게 뒷걸음질쳤고, 그 다음으로는 KB금융이 26.1%, 하나금융이 20.2%, 우리금융이 15.4% 수준으로 각각 축소했다.

4대 금융지주의 이자이익은 39조6천735억원으로, 모두 전년 대비 두 자릿수 증가율을 기록하면서 각사의 역대 최대 실적을 견인한 것과는 사뭇 다른 셈이다.

이에 따라 금융지주의 비이자이익 기여도도 줄어들었다.

작년 영업이익에서 비이자이익이 차지하는 비중은 4대 금융지주 평균 17.2%로 전년(24.5%) 대비 큰 폭으로 축소됐다.

금융지주 입장에서는 본격 금리인상기를 맞아 이자이익 의존도가 크게 상승한 셈인데, 균형 잡히고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해서는 비은행 사업 강화에도 중점을 둬야 할 필요성이 커졌다.

비은행 사업 강화를 위한 주요 수단으로는 단연 M&A가 꼽힌다.

금융지주들은 수년간 증권사·보험사·벤처캐피탈(VC) 등에 대한 M&A를 검토 및 실시하면서 비은행 포트폴리오를 확대해나가면서 수익의 다변화를 추구하고 있다.

올해 들어서는 우리금융이 다올인베스트먼트 지분 인수를 결정하면서 그룹의 비은행 부문 경쟁력 강화를 꾀하고 있다.

지난해 시장 불안정으로 금융지주들이 적극적인 M&A를 보류하고 유동성 확보에 주력해왔고, 금리인상기로 M&A 시장에 나온 매물들의 밸류에이션(기업 가치)이 크게 빠진 것을 고려하면 올해는 작년보다 '인오가닉 전략'을 적극적으로 펼치기에 적합한 측면도 있다.

실제로 지난주 실적발표 컨퍼런스콜에서 우리금융과 하나금융은 시장을 지켜보면서 M&A를 지속적으로 검토하고 있다고 직접적으로 언급하기도 했다. 특히 우리금융은 리테일 기반 증권사를 염두에 두고 있다는 계획을 밝히기도 했다.

◇ 적극적 M&A, 강화된 주주환원책과 배치될 수도…균형 잡아야

다만 이같은 적극적인 M&A는 최근 금융지주들이 앞다투어 발표한 강화된 주주환원책을 실행하는 데는 장애물로 작용할 수 있다.

앞서 4대 금융지주들은 작년에 사상 최대 실적을 달성한 만큼, 이전보다 적극적인 배당과 자사주 매입·소각 등을 통해 주주에게 환원하겠다고 약속했다.

4대 금융지주는 모두 올해 중 각사가 정한 규모만큼 자사주 매입·소각을 실시하기로 결정했으며, 각사의 목표 보통주자본비율(CET1)을 12%~13.5% 수준에서 각각 잡고, 이를 초과하는 자본에 대해서는 추가적으로 주주환원에 사용하겠다고 구체적으로 명시하기도 했다.

작년 말 기준 금융지주의 보통주자본비율의 경우 KB금융이 13.25%, 하나금융이 13.15%, 신한금융이 12.7%, 우리금융이 11.5%로 잠정 집계됐다.

이에 따라 각사가 목표 보통주자본비율을 초과 및 유지하고 실제로 주주환원책을 실시할지가 올해부터 굉장히 중요한 이슈가 될 전망이며, 이에 따라 주주환원 규모에 차이가 현저히 나타날 것으로 보인다.

금융지주들은 보통주자본비율을 높여 주주환원을 확대하고, 주가를 부양하는데 이전보다 더 방점을 두게 될 수밖에 없는 셈이다.

다만 보통주자본비율은 비은행 자회사를 인수하면 하락하게 된다.

보통주자본비율은 크게 보통주자본을 위험가중자산으로 나눠 산출하게 되는데, 증권사 등 비은행 계열사를 인수하면 위험가중자산이 필연적으로 늘기 때문이다.

즉, 금융지주의 적극적인 M&A는 보통주자본비율을 낮춰, 각사가 목표한 주주환원책을 단행하는 데 장애물로 작용할 수 있는 것이다.

금융지주 중 가장 비은행 부문이 약해 올해 증권사 등 적극적인 M&A가 기대되는 우리금융에 이와 같은 우려가 제기되고 있는데, 우리금융은 보통주자본비율에 여유가 있다고 강조하기도 했다.

특히 증권사 인수로 보통주자본비율이 규제비율인 10.5%로 떨어질 가능성은 매우 적을 것이라고 설명한 바 있다.

이성욱 우리금융 재무부문 부사장(CFO)은 지난주 실적발표 컨퍼런스콜에서 "현재 보통주자본비율이 11.5%로 10.5%까지는 1% 정도의 여유가 있는데, 1%면 위험가중자산은 20조원 정도 되는 규모"라며 "이 경우 크게 보면 대형 증권사 (인수 여력) 정도가 될 것이고, 중형 증권사 정도면 50~60bp 정도 영향이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전상욱 미래성장총괄 사장도 "증권사 M&A 추진 대원칙은 적정 자본비율을 유지한다는 것과 주주이익 극대화 관점을 놓치지 않는다는 것"이라며 "보통주자본비율이 10.5% 밑으로 내려가는 일은 없을 것"이라며 우려를 불식했다.

뿐만 아니라 고금리 상황에서 선제적 리스크 대응을 위해 금융당국이 배당 자제 권고, 건전성 강화 등을 요청하고 있고, 이에 따라 금융지주들이 대손준비금 적립 등을 위해 M&A와 주주환원 확대 등을 모두 적극적으로 실시하기가 예상보다 다소 쉽지 않을 수 있을 것이라는 시각도 있다.

실제로 금융위원회는 경기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는 상황을 감안해 은행권 손실흡수 능력 확충을 위해 특별대손준비금 적립 요구권 도입을 추진하고 있다. 금융위는 해당 제도를 올해 상반기에 시행하는 것을 목표로 잡고 있다.

금융권 고위 관계자는 "적극적으로 M&A를 실시하면서 주주환원도 확대하는 것은 상충되는 상황을 야기하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쉽지 않을 것"이라며 "이 두 가지를 올해 모두 이뤄내야 하는 금융지주는 곤혹스러울 수 있다"고 말했다.

4대 금융지주 로고.
[각 금융지주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jhson1@yna.co.kr
(끝)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에서 09시 10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