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송하린 한상민 기자 = 증권·기업 등 업계에서는 금융당국에서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을 중장기적으로 추진하겠다고 강조한 부분에 대해서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그러면서도 구체적인 가이드라인과 세제혜택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도 아끼지 않았다.

김두남 삼성자산운용 고객마케팅부문 상무는 26일 여의도 한국거래소에서 열린 '한국 증시 도약을 위한 기업 밸류업 지원방안' 1차 세미나에서 "한국거래소 발표 내용 중 중장기적 관점에서 각 기업의 특수성에 맞춘 기업가치 제고방안을 공표한 점 고무적으로 보고 있다"며 "기업가치 제고방안이 문화로서 자리잡아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김 상무는 "밸류업 지수가 거래소 주도 아래 개발되면 상장지수펀드(ETF) 운용하는 회사들은 ETF를 상장시킬 것"이라며 "지수가 원활히 쓰이기 위해서는 국민연금이나 기관이 벤치마크로 사용해야 하며, 지수 관련 파생상품도 조속히 개발돼야 훨씬 더 잘 활용될 것"이라고 제언했다.

김동양 NH투자증권 연구원도 "기업마다 상황이 다르겠지만 저평가됐는지에 대한 기준을 명시적으로 제공을 해줘야 기업이 밸류업을 이행할 시 목표 설정 때 도움이 될 것"이라며 "저평가된 중견 이하 기업들이 이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게 중요한데 자사주나 배당, 투자 등 다방면에 걸쳐 실질적이고 강력한 세제 혜택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또 "기업 밸류업 계획 공표 관련 비용 부담이 걱정될 텐데 거래소 지원 계획 중 교육이나 컨설팅 부분을 우선으로 잘 운영해주셨으면 한다"고 덧붙였다.

산업계에서도 주가순자산비율(PBR) 등으로 기업을 증명하는 데 있어 투기 부작용을 우려하며, 장기적인 관점에서 정책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정병준 리노공업 상무는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은 장기적 관점에서 추구해야 하고 단기적 주주 이익만을 추구해선 안 된다"며 "국내외 장기투자자와의 파트너십과 프로그램 수정·보완 등을 거쳐야 한다"고 언급했다.

정인철 포스코인터내셔널 상무는 "확정급여형(DB)이나 확정기여형(DC) 등 퇴직연금 같은 경우 간접 투자밖에 허용되지 않고 있는데, 지수 관련해서는 파생상품 등 더 다양한 상품을 열어줄 필요가 있다"며 "국내 기업들이 해외 지분을 확보해서 주가 안정성을 도모하고자 할 때 소통 비용 등 관련 거래소가 기업을 지원해주면 도움이 될 것"이라고 제안했다.

학계에서는 세제혜택에 대해 보다 구체적인 제언이 나왔다.

이준서 동국대 경영학과 교수는 "세제당국과 협의가 필요하겠지만, PBR이 높은 기업에 대해서 상속세나 증여세를 감면해주는 전향적인 방안을 제안한다"며 "일본의 경우 PBR이 1이 안 되면 상속 증여를 할 때 과표를 시가가 아닌 장부가로 산정해, 예를 들어 PBR이 0.5가 되면 시가에 비해 과표가 2배가 되는 등 페널티를 준다"고 말했다.

그는 "우리와 일본과의 차별점이 인센티브라고 한다면, 우리는 인센티브 측면에서 어떤 특정 기업의 PBR이 산업 평균보다 높다면 상속·증여세를 감면하는 방안을 고민할 수 있다"라고 부연했다.

이 교수는 "장기보유에 대한 인센티브도 고민해볼 필요가 있다"며 "장기보유를 목적으로 하는 연기금과 달리 민간 투자자는 단기 수익을 추구하는 경향이 있다"고 설명했다.

권재열 경희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는 "업종별뿐만 아니라 기업 규모나 기업 성격에 따른 차별적 접근이 요구된다"며 "이사회에 책임을 많이 두면 소극적으로 될 수밖에 없고, 주주가치 제고 과정에서 기관 투자자의 과도한 경영간섭이 이루어지면 뜻하지 않은 방향으로 흘러갈 여지가 있어 사전단계에서 좋은 방안을 미리 강구해야 한다"고 말했다.

 


hrsong@yna.co.kr

 

(끝)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에서 12시 22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