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이규창 기자 = 쌍용건설이 지난해 대규모 당기순손실로 완전자본잠식에 빠진 것으로 추정되는 가운데 유동성 지원과 지분 매각에 대한 해법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14일 금융당국과 관련업계에 따르면 가장 유력한 방안은 워크아웃 신청이다.

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는 현재 협상 중인 제3자 배정 유상증자에 전력을 기울인다는 입장에는 변함이 없다.

그러나 시간이 없다.

유상증자에 참여하겠다는 의향을 보인 홍콩계 PEF인 VVL은 투자확약서(LOC)를 제출하지 못했고, 말레이시아 사푸안(Safuan) 그룹 컨소시엄도 소극적이다. 자금 조달력도 의심되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인수자에게 유리하다고 판단한 측면도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런 상황에서 캠코의 부실채권정리기금 청산기한이 오는 22일로 다가왔다. 더구나 쌍용건설은 자금을 수혈받지 않으면 이달 말을 넘기기 어렵다.

불과 며칠 남지 않은 시간에 유증 협상을 매듭짓는 '기적'이 필요한 셈이다.

따라서 사실상 금융당국과 캠코도 유증 실패 이후를 준비하고 있다.

캠코가 쌍용건설 지분을 23개 채권은행에 넘기고 워크아웃을 추진하는 안이 다음 수순이다. 지분을 넘긴 후 발생하는 손익을 사후 정산하겠다는 것이다.

이는 규정대로 쌍용건설 지분을 국가에 현물 반환할 경우 국영건설사 탄생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물론, 지분이 넘어갈 경우 쌍용건설이 워크아웃보다는 법정관리를 주장하는 채권은행 뜻대로 처리될 수도 있다.

그러나 금융당국과 캠코는 주주 가치가 덜 훼손되는 워크아웃을 관철할 방침이다. 지분을 넘겨도 당초 맺은 '공동매각협약'은 여전히 유효하다는 게 금융당국과 캠코 입장이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쌍용건설 경영 정상화와 공적자금 회수 극대화를 위해서는 워크아웃을 해야 한다"며 "다른 건설사 문제로 채권은행들 사정이 어려운 것은 알겠지만, 법정관리는 고려하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전일 한국기업평가와 한국신용평가, 나이스신용평가 등은 쌍용건설의 무보증사채 신용등급을 'BB+'에서 'B-'로 하향 조정하고, 등급전망도 하향 검토대상(Watch List)으로 등록한 바 있다.

scoop21@yna.co.kr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