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백웅기 기자 = 저유가 시대에도 예산 부족 탓에비축유를 더 늘리지 못해국내 비축기지 가용 용량의 10%를 외국 기름이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6일 산업통상자원부와 한국석유공사에 따르면 작년 말 기준 국제공동비축 계약을 통한 국내 도입량은 원유 1천360만 배럴, 석유제품 60만 배럴 등 총 1천420만 배럴 규모로 집계됐다.

전국 9개 비축기지의 가용 용량은 1억4천600만 배럴로 현재 전략비축유 9천174만 배럴을 저장 중이다. 여기에 공동비축유를 포함하면 1억600만 배럴 정도에 이른다.

석유공사가 주관하는 국제공동비축 사업은 국내 비축저장시설의 유휴 공간을 산유국이나 국제 에너지 메이저 업체 등에 임대해 원유나 석유제품을 저장하게 하고 공사는 그 수수료를 수익으로 받는 방식이다.

국제 유가가 폭락한 시점을 이용해 중국 등이 활발하게 비축유를 늘리고 있는데 우리나라는 예산 제약을 이유로 경쟁에 뛰어들지 못할망정 한가하게 외국에 저장 공간이나 내준 형편이다.

석유공사 관계자는 "만약 비축유를 더 채운다면 공동비축 물량을 더 늘릴 수는 없겠지만, 현재 빈 공간을 활용해 수익원으로 활용하는 만큼 국내 전략비축유를 확보하는 데엔 영향이 없다"며 "유사시엔 공사에 우선구매권도 있는 만큼 간접비축 효과도 있다"고 설명했다.

외국 물량에 공간을 내주면서도 저유가에 비축유를 더 확보하지 못하는 데 대해 정부나 석유공사만 탓할 수도 없다.

1999년부터 시작해 작년까지 국제공동비축 사업으로 석유공사가 챙긴 수익은 약 7천470억원 정도로 연 500억원 수준이다. 올해 비축유 구매를 위해 책정된 예산은 정부 183억(휘발유), 석유공사 366억원(원유) 등 총 549억원 규모로 유휴 비축시설을 임대하고 벌어들이는 수익과 별반 차이가 없기 때문이다.

산업부 관계자는 "비축유를 일정 기간에 양을 얼마나 확보하겠다는 식이 아니라 일정 예산 한도 내에서 살 수 있는 물량을 확보하는 방식이어서 당장 유가가 싸다고 많이 사둘 수는 없는 노릇"이라며 "수익을 확보하면서 간접비축 효과를 최대한 활용하는 것이 현재로선 최선"이라고 말했다.

wkpack@yna.co.kr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