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자주: 정부의 공기업 개혁 작업이 한창이다. 기관마다 눈덩이 같은 부채를 떠안게 된 사연도 가지가지다. 그에 따라 처방도 달라야 한다. 연합인포맥스는 산업통상자원부 산하 한국전력, 한국가스공사, 석탄공사 등 에너지 공기업 세곳의 재무 현황을 점검해 부채원인, 리스크 요인을 살피고 개선방안을 들어봤다.>>



(서울=연합인포맥스) 백웅기 기자 = 산업통상자원부 산하 에너지 공기업들의 부채감축 계획이 공개된 가운데 이제 실행과정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특히 에너지 공기업 정상화 대책의 선도적 역할을 공언한 한국전력의 향후 행보는 정부 대책의 성패를 가늠할 척도가 돼 더욱 눈길을 끈다.



◇ 왜 부채 증가했나

17일 한전 등에 따르면 11개 에너지 공기업들의 부채비율을 통상 100~150% 수준을 유지해왔다. 일견 양호한 수준의 재무상태로 보이기도 하지만, 문제는 부채규모가 지속적으로 확대되는 데에 있다.

한전의 2012~2017년 중장기 재무관리 계획에 따르면 자산이 96조2천억원에서 113조3천억원으로, 부채가 55조원에서 70조3천억원으로 늘어 부채비율도 133.2%에서 163.8%로 뛸 전망이다.

2000년대 중반 유가 상승에 따른 전기요금 인상요인이 있었지만 정부는 물가안정에 더 무게를 뒀다.

그 결과 이전까지 90%대 중반을 유지하던 전기요금 원가회수율(원가대비 판매가)이 2008년의 경우 77.7%까지 떨어졌다. 49.1% 수준에 그쳤던 부채비율도 해마다 꾸준히 상승세를 보인 것도 이때부터다.

전기를 마련한 건 지난해였다. 두 차례에 걸친 전기요금 인상을 계기로 지난해 연결결산 기준 순이익이 전년대비 105.7% 늘어난 1천743억원을 기록해 6년 만에 흑자전환에 성공했다. 영업이익도 같은 기간 285.7% 늘어난 1조5190억원으로 잠정 추계됐다.

◇ 부채비율 상승세 어떻게 관리하나

여기에 더해 한전은 사업구조조정을 통해 2017년까지 총 3조원 규모의 부채를 감축할 계획이다. 또 매각가능한 자산은 전부 매각해 5조3천억원을 확보할 방침이다.

서울 삼성동 본사 사옥을 비롯한 부동산 자산과 전력관련 자회사인 한전기술·한전KPS 지분을 경영권 유지수준만 남기고, 전력사업과 무관한 한전산업개발·LG유플러스 지분 전량을 매각한다.

또 신기술·공법 적용을 확대하는 등 원가절감을 통해 4조2천억원, 다양한 수익창출 사업으로 3천억원, 이자비용 절감을 통해 1조9천억원을 확보해 총 14조7천억원을 마련하겠다는 계획이다.

한전 측은 이를 통해 내년 안으로 부채비율 변곡점을 찍고 2017년엔 부채증가율을 33%까지 떨어뜨릴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 전기요금 인상 여파는 올해부터

물론 한전 재무구조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적인 요인은 역시 전기요금이다. 당장 올해는 7월 발전용 유연탄 과세가 실시되고, 신재생에너지의무할당제(RPS)와 탄소배출거래제 이행에 따른 비용, 송전법 개정에 따른 보상비용 등 원가상승 압박이 크다.

이와 관련 한전 측 관계자는 "지난해 11월 5.4% 전기요금 인상 효과가 실적에 온전히 반영되지 않아 올해가 시금석이 될 것"이라며 "중장기적으론 기저발전량이 많아져 수급조정이 가능한 만큼 상황이 나아져 재무개선안대로 이행한다면 상당한 효과를 거둘 것"이라고 전망했다.

실제 이번 한전의 부채감축 계획은 기재부의 승인도 받은 상황이다.

사업구조조정, 자산매각, 원가절감, 수익창출, 금융기법활용 등의 방식이 인정받은 셈이다. 하지만 이런 방법론보다는 전기요금 관련 구조적 개선이나 임금인상분·경영성과급을 반납한 조직원들의 의지가 더 중요하다는 의견도 뒤따른다.

wkpack@yna.co.kr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