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연합인포맥스) 이효지 기자 = 한국토지주택공사(LH) 직원의 3기 신도시 땅투기 의혹이 일파만파하자 LH가 주도하는 서울 소재 정비구역들도 불안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9일 정비업계에 따르면 LH 주도 정비사업을 추진 중이던 토지주와 주민들은 LH를 잇따라 비판하며 사업 철회까지 요구하고 있다.

공공주택지구 전국연대대책협의회(공전협) 임채관 의장은 전날 한 방송에서 "투기가 있고 원주민이 손해보는 3기 신도시를 강행하는 것은 문제"라며 3기 신도시 사업을 전면 백지화하라고 주장했다.

공전협은 태릉CC 등 8·4대책에서 나온 서울 내 택지 주민들과 연대하고 있다.

공공주택지구사업이 추진되는 서울 용산구 동자동 쪽방촌 일대의 토지·건물 소유주들도 부정이 많은 LH와 함께 사업을 할 수 없다며 반발했다.

쪽방촌 소유주들은 자체 정비사업 계획을 발표하려고 용역 중이었는데 갑자기 공공주택지구로 지정되면서 재산권을 침해당했다고 주장해왔다.

이 지역들은 사업 추진 과정에서 LH와 갈등을 빚던 곳으로, LH 직원 비리를 발화로 협상력을 최대한 키우겠다는 심산도 읽힌다.

공공재개발을 신청한 구역들도 불안하기는 마찬가지다.

현재 28개 구역이 2차 공공재개발 시범사업 후보지로 추천됐으며 이달 말 최종 후보지 선정을 앞두고 있다.

한 관계자는 "공공재개발을 하려는 이유는 사업성도 있지만 공공에 대한 신뢰와 신속함인데 신뢰가 무너진 것"이라며 "LH 단독으로 재개발을 추진하려고 주민 동의까지 많이 받아뒀는데 난감하게 됐다"고 말했다.

시범사업지로 선정되더라도 LH가 아닌 서울도시주택공사(SH)에 사업을 맡기고 싶다는 이야기도 나온다.

다만 공공재개발은 자체 재개발 추진이 더디거나 무산된 곳에서 공공을 지렛대로 삼아 정비사업을 완성하겠다는 곳이어서 공공의 역할이 필요하다.

사업을 무효화하기보다 이번 사태를 계기로 더 투명하게 사업을 진행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는 이유다.

공공재개발을 위해 발의된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 개정안은 삼수 끝에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법안소위를 통과해 입법 과정의 가장 큰 고비를 넘긴 상태다.

박종덕 신길1구역 공공재개발 추진위원장은 "이번 사태가 공공재개발 사업지 선정 및 사업 추진에 악영향을 미칠지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며 "국토부와 LH가 철저한 재발방지책을 마련해 환골탈태해야 한다"고 밝혔다.

hjlee2@yna.co.kr

(끝)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에서 08시 24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