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한종화 기자 = 당국의 오락가락 정책에 중국의 기업공개(IPO) 정체 현상이 심각하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7일(현지시간) 약 675개의 기업이 IPO를 기다리고 있으며 이들 기업이 계획 중인 자금조달 규모는 630억 달러라고 보도했다.

IPO 정체현상이 심각해진 것은 IPO 조건이 지나치게 까다로운 데다, 당국이 자의적으로 IPO를 지연·중단시키기 때문이다. 중국은 지난 7월에도 증시폭락을 방지하기 위해 IPO를 중단했다가 최근에야 이를 재개했다.

IPO를 기다리고 있는 기업들은 백신제조회사, 소매체인, 영화제작사 등 업종별로 다양하다.

중국 최대 부호인 왕젠린(王健林) 회장의 다롄완다그룹도 IPO를 기다리고 있는 상황이다. 그러나 올해 말까지는 약 28개의 기업만 IPO 절차를 마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매체는 지난 5년간 당국이 9번이나 IPO를 중단했다. 그 이유로 새로운 기업의 IPO 때문에 국영기업으로부터 자금이 유출되는 것을 당국이 우려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또 공공정책 연구기관인 아메리칸엔터프라이즈인스티튜트의 웨이펑 종(Weifeng Zhong)은 미국에서 IPO는 3개월이면 마무리 할 수 있지만 중국에서는 2년 반 이상이 걸린다고 말했다.

중국에서 기업공개를 원하는 기업은 최근 3년간 수익을 내야 하고, IPO 절차가 진행되는 동안 기업 소유주를 변경하는 것이 금지된다. 또 상장 뒤에도 설립자 등 중요 투자자는 3년간 주식을 팔 수 없다.

보석전문 기업인 테시로(Tesiro Jewelry)의 셴동쥔(沈東軍) 사장은 IPO 때문에 인수합병 기회를 거절한 적이 있다고 말했다. 그는 또 테시로가 IPO의 모든 요구사항을 충족했는데도 5년째 상장을 기다리고 있다고 덧붙였다.

까다로운 IPO 절차에 기업들은 해외에 상장하거나 이미 상장한 기업과 합병하는 우회상장의 방법을 채택하고 있다. 알리바바는 지난해 미국 증시에 상장했고, 포커스미디어(Focus Media)는 올해 초 A주식 시장에 우회상장했다.

당국의 자의적인 조치가 가능한 IPO 제도는 부패의 원인이기도 하다. 'IPO황제'라는 별명을 갖고 있는 야오강(姚剛) 중국 증권감독관리위원회(증감회) 부주석은 기율위반 혐의로 올해 체포됐다.

중국 당국도 이런 문제점을 인식하고 최근 IPO제도 개혁을 준비하고 있다. 중국 증감회는 지난 11월 'IPO와 상장관리방법','발행심사규범화진행에관한약간의견' 등을 발표하며 IPO 등록제 도입을 위한 준비작업에 나서고 있다.

jhhan@yna.co.kr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