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곽세연 정지서 기자 = 국민연금공단이 외화금고은행 선정 작업에 착수했다.

600조 원 규모의 자금을 운용하는 국민연금의 해외투자 규모가 30%에 육박하면서 국민연금의 외국환 거래를 주도할 시중은행의 금고사업 경쟁도 치열해졌다.

특히 정부가 외환보유고 관리 차원에서 국민연금의 외화자금에 큰 관심을 두고 있어 외화금고은행의 중요성은 더 커질 것으로 보인다.

12일 금융권에 따르면 국민연금은 최근 외화금고은행 선정을 위한 입찰 공고를 내고 지난 10일 사업 설명회를 했다.

국민연금의 외화금고은행이 되면 국내ㆍ외 외국환 거래 출납은 물론 외화금고계좌 개설, 외화 단기자금 한도 관리, 해외ㆍ국내송금 및 환전업무, FX거래를 위한 계좌개설, 해외자산 수탁은행 관리, 외화 단기자금 평잔 한도 관리 등의 일을 맡는다.

우선협상대상자가 되는 은행은 내년 7월부터 2021년 6월까지 외화금고은행을 맡게 된다.

기본 계약 3년 이후 연간 평가에 따라 1년씩 최대 두 번까지 연장할 수 있는 만큼 사실상 2023년 6월까지 5년간의 사업권을 가져간다.

국민연금은 2월 13일(오후 4시)까지 제안서를 받고, 같은 달 23일 제안서 프레젠테이션을 실시한다.

총 100점 배점으로 고득점을 받은 은행을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할 예정이다.

평가 항목은 재무안정성(10점)과 업무수행능력(70점), 내부통제 및 컴플라이언스(10점), 수수료(10점) 등이다.

BIS비율은 12% 이상, NPL은 1.5%, ROA는 0.24%, 외화유동성비율은 100% 이상이어야 만점을 받는다.

신용등급은 국내 신용평가사 두 곳 이상에서 제출된 평가등급 중 가장 낮은 등급을 적용하고, 해외 신용평가사는 한 곳의 등급만 제출하면 된다.

수수료는 당발송금의 경우 건당 2만달러 이상일때 지급하며 2만9천원 이하로 제시해야 최고점을 받는다. 타발송금은 1천달러 이상일때 지급하며 8천원 이하여야 최고점이다.

국민연금이 공개 입찰을 통해 외화금고은행을 선정한 것은 지난 2013년부터다.

최근 주거래은행으로 선정된 우리은행이 그간 국민연금의 첫 외화금고은행을 맡아왔다.

이번 입찰에서 신한은행과 우리은행은 제외된다.

국민연금은 수탁업무의 위험을 분산하고 투자자산을 안정적으로 관리하는 차원에서 동일 금융지주회사의 업무영역을 최대 2개로 제한하고 있어서다.

우리은행은 지난해 연말 국민연금의 주거래은행과 주식 부문 수탁은행으로 선정됐다. 신한은행과 KEB하나은행은 각각 채권과 대체투자 수탁은행이 됐고, 사무관리는 신한아이타스가 맡았다.

이에따라 이번 입찰은 사실상 KB국민은행과 KEB하나은행, IBK기업은행 간 '3파전'이 될 것으로 보인다.

지난 10일 열린 설명회에도 국민은행과 하나은행이 직접 참석했다. 기업은행도 입찰 참여를 검토중이다.

일본 공적연금펀드(GPIF)와 노르웨이 국부펀드(GPF)에 이어 자산규모 세계 3위인 국민연금의 자산은 향후 5년 뒤 1천조 원에 달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현재 자산 602조원인 국민연금의 해외투자 규모는 지난해 8월말 기준으로 167조4천억원(27.8%). 지난 2010년 40조원(12.5%)에 불과했던 해외투자 규모가 단기간 내 급증했고, 수익률 제고 차원에서 해외 투자를 늘릴 수밖에 없다는 게 국민연금의 설명이다.

국민연금 관계자는 "연금의 투자 관련 외화자금 전반에 대한 관리를 중요한 역할"이라며 "특히 외환보유고를 관리하는 정부 차원의 관심때문에 외화금고은행의 중요성이 더 커지고 있다"고 말했다.

외화금고은행이 국민연금의 거래 파트너가 될 수 있는 마지막 입찰이란 점에서도 은행간 경쟁은 더욱 치열해질 것으로 보인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이번 외화금고은행 입찰은 국민연금 파트너 은행이 되는 사실상 마지막 경쟁"이라며 "자금관리는 물론 외화사이버뱅킹 등 디지털과 글로벌 시장에서의 이점을 최대한 강조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jsjeong@yna.co.kr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