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노현우 기자 = 다음 달 추가인상이 유력한 미국 금리와 달리 국내에서는 올해 내내 기준금리가 동결될 수 있다는 전망이 채권시장을 중심으로 제기되고 있다.

고용과 가계부채 등 경제 상황을 종합적으로 보면 아직 추가인상에 나설 정도로 경기 회복세가 돌고 있지 않다는 판단에서다.

21일 통계청에 따르면 작년 10월부터 12월까지 취업자 수 증가 폭은 20만 명대에 그쳤다.

작년 3%대 성장률 회복에도 고용 개선세는 뚜렷하지 않은 셈이다.

지난달에는 33만4천 명 늘어 넉 달 만에 30만 명대 증가 폭을 회복했지만, 아직 추세를 판단하기 이르다는 분석이 많다.

실업자 수가 7개월 만에 다시 100만 명을 넘어서는 등 일부 지표에서 불안한 모습이 이어지고 있다.

미국의 통상 압력과 GM 사태 등 악재도 고용시장 개선을 가로막는 요인으로 자리하고 있다.

지난달 금융통화위원회에서는 한 금통위원이 최근 들어 우리나라의 고용지표, 특히 실업률과 취업자 수가 주요 선진국과 상당히 다른 모습을 보여 면밀히 분석해 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가계부채 문제도 한국은행의 금리 인상에 제동을 걸 수 있는 요인으로 꼽힌다.

국내 가계의 경우 금융기관으로부터 받는 이자보다 내는 이자가 더 많다. 가계의 금융자산이 금융부채보다 많지만, 예금금리보다 대출금리가 높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이런 상황에서 한국은행이 금리를 올리면 가계 소득을 줄이는 결과로 이어질 수 있다. 통상 기준금리 인상 시, 예금금리보다 대출금리 인상 폭이 더 커지기 때문이다.

김일구 한화투자증권 리서치센터장은 "한은이 우리나라 잠재성장률을 2.8% 정도로 보고 있는 점을 고려하면 현재와 같은 3%대 성장률에서 금리를 올려도 된다"며 "그러나 고용과 가계부채 여건까지 종합적으로 고려하면 올해 금리 인상은 없거나 한 차례 정도에 그칠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한국 가계의 순이자지급액(이자수취액-이자지급액) 추이, 출처: 한화증권, 한국은행>

hwroh@yna.co.kr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