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노현우 기자 = 우리나라가 미국 재무부의 환율조작국 지정을 피함에 따라 외국인의 국내 채권시장 이탈 우려도 완화할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예상 수순이기는 하지만, 환율조작국 지정 회피로 외국인의 원화채 투자 이탈을 촉발할 수 있는 요인 하나가 제거됐다는 평가다.

미국 재무부가 14일(한국시각) 공개한 환율 보고서에 따르면 교역촉진법상을 토대로 심층 분석대상국이나 1988년 종합무역법상 환율조작국에 지정된 국가는 없었다.

우리나라를 비롯해 중국과 일본, 독일, 스위스, 인도 등 6개국이 관찰대상국에 분류됐다. 대미 무역흑자가 많은 인도가 새롭게 포함됐다.

외국계 은행의 한 채권 운용역은 "환율조작국가 지정 회피는 시장 참가자들이 대부분 예상했던 만큼 이번 발표가 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없을 것으로 본다"며 "올해 들어 재정거래가 대거 유입되는 등 채권시장 분위기는 나쁘지 않았다"고 말했다.

연합인포맥스 채권별 거래종합(화면번호:4556)에 따르면 외국인은 올해 들어 17조5천여억 원 규모의 원화 채권을 순매수했다.

이중 통안채가 9조2천여억 원으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최근 스와프 포인트 급락에 재정거래 유인이 확대되자, 비교적 만기가 짧은 통안채에 외국인 자금이 유입된 것으로 풀이된다.

다른 외국계 은행의 채권 딜러는 "환율조작국으로 지정됐더라면 멘데이트(mandate) 영향을 많이 받는 중앙은행이나 연기금의 경우 원화채 투자에 제약을 받을 수 있었다"며 "이런 최악의 상황을 피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고 말했다.

기재부에 따르면 작년 말 기준 해외 중앙은행의 보유채권 비중은 전체 외국인 보유분의 55.3%를 나타냈다. 2016년 52.7%에 비해 확대된 결과다.

외국인 보유채권의 평균 잔존만기는 2014년 말 2.90년에서 2017년 말 4.07년으로 증가했다.

hwroh@yna.co.kr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