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은행주 타격 불가피



(서울=연합인포맥스) 정선영 기자 = 정부가 부동산 과열을 잡기 위한 초강력 대출 규제안을 내놓으면서 증권가에서는 내년 부동산시장이 조정기를 맞을 것으로 내다봤다.

부동산 담보대출을 틀어쥐고, 투기 수요를 막음으로써 집값 가격 상승 기대가 완화할 것으로 예상됐다.

이번 대책으로 건설, 은행 업종에 대한 타격은 불가피하다고 증시 전문가들은 진단했다.

17일 증권사별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전방위적 부동산 대출 규제를 담은 12·16 주택시장 안정화 정책에 건설업종 주가는 하락 압력이 클 것으로 예상됐다.

김치호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공급확대를 위한 정책은 건설업종에 소폭 긍정적이나 분양가 상한제 시행으로 인한 주택 신축, 정비사업 수익성 악화는 불변 요소이며, 2020년 4월 이후 서울지역 주택 공급 축소는 불가피하다"고 진단했다.

이와 함께 "다주택자에 대한 양도소득세 한시적 배제는 2020년 6월까지 일시적 주택 거래 증가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어 일부 건자재업종의 단기적 수혜가 가능하다"고 내다봤다.

강력한 부동산 규제로 인해 건설업종의 타격은 불가피할 것으로 봤다.

송유림 한화투자증권 연구원은 "코스피 건설업종의 밸류에이션은 0.62배로 2008년 금융위기 당시의 0.68배와 2017년 부동산규제가 강화되던 시기의 0.63배 보다 낮아져있다"며 "올해 분양가 상한제가 발표된 이후 건설업과 코스피와의 밸류에이션 괴리는 점차 확대되고 있으며, 주요 건설사의 주가 역시 역사적 저점 부근에 있다"고 분석했다.

그는 "부동산 규제는 건설업 투자 심리에 분명 부정적 요인으로 작용해왔지만 이번 규제가 아니더라도 주택을 중심으로 한 국내 수주는 감소 추세를 이어갈 전망이었고, 추가 규제로 부동산 시장이 급랭한다 해서 당장 건설사의 실적 악화로 직결시키기는 무리가 있다"고 봤다. 이어 "해외수주 기대감이 점차 커질 전망"이라며 "대규모 프로젝트 발주 일정이 내년 상반기에 몰려있는 만큼 이에 대해서는 긍정적 시각을 유지해야 할 시기"라고 판단했다.

KB증권은 인기 지역의 가격은 당분간 조정될 것으로 예상했지만 비규제지역 풍선효과 가능성이 있다고 봤다.

이에 KB증권은 업종내 차별적인 접근을 유지해야 한다며 삼성엔지니어링, 현대건설, 쌍용양회 등을 추천했다.

부동산 실물 투자보다 리츠 투자 등을 권고하는 의견도 제시됐다.

미래에셋대우는 "강력한 대출 규제로 투자(투기)수요가 빠르게 감소할 전망"이라면서 "특히 최근 전세대출을 활용해 무리하게 집을 구매했던 투자자들의 매수세가 줄어들면서 시장 안정화에 기여할 것"이라고 봤다.

이광수 연구원은 "정부는 시장이 지속 불안정하다면 더욱 강력한 부동산 대책을 발표할 계획"이라며 "지금은 섣부른 전망보다 시장 변동 리스크에 주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따라서 "자산배분 관점에서 국내 실물 부동산에 대한 투자보다 유동성이 확보된 리츠, 글로벌 자산 등 다양한 투자 전략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12·16 주택시장 안정화 방안이 은행업종에 미칠 영향은 가계대출 성장률 둔화를 꼽았다.

이번 정책에서 9억원 초과 주택 LTV 강화와 15억원 초과 주택에 대한 주택담보대출 금지를 담고 있어서다.

부동산 규제 강화 스탠스가 은행주에 차익 실현의 빌미로 작용했다.

하지만 은행업종에 대한 비중확대(Overweight)의견을 유지하는 분석도 나왔다.

은경완 메리츠종금증권 연구원은 "대부분 은행의 2020년 경영계획에 가계 대출 성장 목표가 높지 않음에도 일부 하향 조정이 불가피해보인다"며 "그러나 중장기적으로 더 큰 문제는 대출 수요 감소와 예대율 하락이 가져올 마진 하방 압력"이라고 짚었다.

그는 "최근 은행주 반등은 금융당국의 자본규제(자사주 소각 허용) 완화 움직임과 매크로 불확실성 해소에 기인하고 있는 만큼 현재로서는 익숙한 대출 규제의 불편함보다 주주환원 기조 확대, 매크로 지표 개선 기대에 좀 더 무게를 둘 필요가 있다고 봤다.

다만, 증시 전문가들은 내년 상반기까지 매도 압박이 가중되는 동시에 대출 규제에 따른 수요 약세가 나타나면서 부동산 가격이 조정되겠지만 그 후에는 다시 가격 반등이 나타날 가능성도 열어뒀다.

이성훈 신영증권 연구원은 "이번 정책이 공급절벽 우려를 불식시키기에는 역부족"이라며 "2020년 상반기 가격 조정이후 2021년 공급 절벽을 근거로 2020년 하반기 가격 반등 시도가 가능하다"고 예상했다.

그는 "추가 대책을 예고한 상황에서 급격한 반등세를 기대하기는 어려우나 규제 제외주택(9억원 초과 15억원 미만, 분상제 적용 제외)을 중심으로 풍선 효과와 청약시장 과열에 따른 신규 주택 가격 상승이 예상된다"고 덧붙였다.

syjung@yna.co.kr

(끝)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에서 11시 34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