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정선영 기자 = 금융당국의 파생결합증권(ELS) 규제 리스크 임박 소식에 상반기 증권사 ELS 발행이 움츠러들었다.

당국이 총량 규제보다 건전성 비율 강화에 초점을 맞추면서 증권사들이 한숨 돌리는 양상이지만 ELS 시장 위축 가능성은 아직 남아있는 상태다.

21일 연합인포맥스 ELS기간발행 통계(화면번호 4333)에 따르면 올해 1월~7월21일까지 발행된 11개 증권사의 ELS 발행액은 총 31조5천235억원 수준이었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 증권사들이 발행한 ELS 발행액 49조1천263억원과 비교하면 현저히 줄어든 수준이다.

평균 발행액 역시 올해는 35억원으로 지난해 44억원에 비해 다소 줄었다.

이는 올해 1분기말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확산으로 전세계 주요 증시가 폭락하면서 ELS헤지 마진콜(증거금 추가 납부 통지) 사태가 발생한데다 이후 증시가 회복하는 과정에서 규제 리스크가 새로운 변수로 떠올랐기 때문이다.

증권사 ELS 조기상환 물량도 올해는 줄었다. 조기상환을 받아 새로운 ELS로 갈아타는 투자자들도 적어진 셈이다. 올해 2분기 조기상환 물량은 약 18조원으로 지난해 2분기 23조6천억원에 비해 감소했다.

금융당국은 증권사 ELS발행이 레버리지비율에서 부채로 계산하는 방식 등을 검토해왔다.

자기자본의 50%를 넘어서는 ELS물량은 1.2배, 1.5배 가중치를 두고 부채로 인식하는 방안이다.

하지만 당국이 ELS 규제를 증권사 건전성 비율을 강화하는 쪽으로 선회하면서 증권사들을 옥죄던 규제 리스크는 다소 누그러졌다.

은성수 금융위원장은 지난 16일 "ELS에 대한 너무 경직적인 규제보다는 건전성 비율을 관리하는 방향이 될 것"이라고 언급한 바 있다.

증권사들은 발행 총량을 자기자본 대비 얼마로 제한할 경우 시장을 아예 위축시킬 가능성이 크지만 건전성 강화에 초점을 맞춘다면 그나마 낫다는 반응이다.

한 증권사 관계자는 "자기자본의 50~100% 등을 기준으로 한 총량 규제 방식을 우려했는데 양적 규제가 아니라 건전성 규제로 바꾸는 것은 우려했던 것보다는 양호한 변화"라고 말했다.

그럼에도 증권사들의 유동성 관리에 대한 부담은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앞으로는 증권사가 자체헤지(Hedge)하는 방식으로 해외 주가지수를 기초로 주가연계증권(ELS)을 발행할 경우에는 일정 비율로 달러화나 달러화로 바꾸기 쉬운 미국 국고채 등을 보유하는 방안도 검토되고 있다. (연합인포맥스가 21일 오전 8시54분 송고한 ''ELS發 자금난 막는다'…자체헤지시 달러자산 보유 의무화' 제하의 기사 참고)

시장에서 잡음이 발생할 때마다 규제로 대응하는 금융당국에 대한 쓴소리도 적지 않다.

코스피를 비롯한 전세계 주요 주가지수가 이미 반등했기 때문에 ELS를 발행하기에 그리 좋지 않은 환경이라는 지적도 나온다.

주가지수가 낮을 때는 ELS를 유리한 조건에 발행할 수 있어 신규가입자를 끌어모으기에 좋지만 증시가 이미 다 오른 후에는 ELS에 대한 관심이 그리 크지 않다는 이유에서다.

다른 증권사 관계자는 "ELS발행자 입장에서는 지수가 떨어지면 더 많이 찍는데 지수가 오른다면 발행자 입장에서는 좋을 게 없다"며 "이런 상황에서 ELS발행액을 규제한다면 시장이 위축될 수 밖에 없다"고 말했다.

그는 "최근 사모펀드 사태로 관련 규제가 예상되는 상황에서 ELS마저 규제할 경우 투자자들의 선택지를 없애고 직접 투자를 부추기는 역할을 하는 셈"이라며 "손해를 보는 사람이 많아지면 규제하고, 문제가 생기면 또 규제하는 식으로 대응할 경우 결국 투자자들의 자율성은 훼손될 수밖에 없다"고 덧붙였다.

syjung@yna.co.kr

(끝)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에서 09시 16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