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윤정원 기자 = 국제 신용평가사 무디스는 12일 웨비나를 통해 중기적으로 한국의 재정 규율이 시험대에 오를 수 있다면서도 동시에 부채 상환 능력은 안정적인 모습을 보일 것이라고 주장했다.

무디스는 이날 한국의 국가신용등급을 'Aa2', 등급 전망을 '안정적'으로 유지한다고 밝히면서 정부 신용도와 관련한 웨비나를 실시했다.

크리스티안 드 구즈만 한국 담당 이사는 한국의 신용등급 전망을 '안정적'이라고 내놓은 이유가 긍정적 요인과 부정적 요인 간의 균형을 반영한 것이라면서 주목해야 하는 세 가지 수치를 제시했다.

첫 번째 수치는 한국의 올해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전망치를 꼽았다.

무디스는 한국의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2010~2011년 금융위기 이후 최고 수준인 3.5%로 제시했다.

구즈만 이사는 "한국은 한국과 유사한 신용등급을 받은 국가 및 주요 20개국(G20) 국가들과 비교를 해야 한다"면서 "한국은 지난해 경제성장률은 -1%였는데 한국과 유사한 신용등급을 받은 국가는 -6%를, G20 국가는 -5%를 기록했었다는 점을 고려했을 때 한국이 성공적이었다는 점을 알 수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올해도 지난해처럼 선전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말했다.

무디스는 특히 전자제품을 주도로 하는 수출이 한국 경제성장을 견인할 것으로 내다봤다.

세계적으로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일하는 방식이 재택근무로 바뀌면서 컴퓨터, CPU 등 전자제품 수요가 높아졌다고 구즈만 이사는 설명했다.

반도체 제품에 대한 공급이 충분하지 않다는 점도 지적했다.

그는 이 부분에 있어서 한국에서도 개인 설비 투자가 강력하게 나타나고 있지만, 반도체 수요를 모두 충족하기에는 충분치 않다고 설명했다.

다만 전자제품처럼 견조한 사업도 있으나 일부 마이너스 기여도를 보여주는 업계도 있어 산업별로 다소 불균등한 회복이 예상된다고 구즈만 이사는 말했다.

무디스는 신용등급에 있어 주목해야 하는 두 번째 수치로 국내총생산(GDP) 대비 부채비율을 꼽았다.

신평사는 2021년 GDP 대비 정부 부채 비율은 46.2%로 전망했다.

무디스는 단기적으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에 한국의 재정 건전성이 약화했다면서도 신용등급이 유사한 다른 국가와 비교했을 때는 상대적으로 크지 않다고 말했다.

중기적으로도 부채부담 증가가 지속되긴 하겠지만 상대적으로는 그 증가폭이 크지 않다고 평가했다.

구즈만 이사는 한국의 GDP 대비 정부 부채 비율이 60%에 가까운 수준으로 지속해서 증가할 것이라면서 "중기적으로는 한국의 재정 규율을 시험대에 오를 수 있는 시기가 올 것"이라면서도 충분히 우호적인 자금조달 여건이 이어져 안정적인 부채 상환 능력을 보여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GDP 대비 부채비율이 높아질 경우 신용등급 전망이 조정될 수 있느냐에 대한 질문에는 "신용등급은 자본시장, 대외무역수지, 지정학적 요인 등 복합적으로 고려해 결정된다"면서 "부채비율이 높아도 이런 점이 상쇄시켜줄 수도 있다"고 말했다.

이어 "한국과 동일한 신용등급을 보유한 국가 중에 한국보다 부채비율이 높은 경우도 있는데 이들은 상환능력이 그만큼 높다"고 덧붙였다.

한국 신용등급에 영향을 주는 마지막 요인으로 지정학적 부문과 관련된 수치를 꼽았다.

무디스는 2018년 이후 북한의 ICBM 발사 및 핵실험 건수가 0건이라고 말했다.

무디스는 "북한의 도발이 적어지면서 지정학적 상황이 비교적 안정적인 현상 유지로 회귀했다"면서도 "다만 평화 프로세스의 진전은 궤도를 벗어났다"고 평가했다.

구즈만 이사는 문재인 행정부가 마지막 한해를 앞두고 북한과 평화협상을 재차 시도할 전망이나 이를 통한 전반적인 한반도 관계의 의미 있는 개선 가능성은 크지 않다고 본다고 설명했다.

jwyoon@yna.co.kr

(끝)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에서 2시간 더 빠른 12시 54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