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당국 '루나사태'에 거래소 긴급점검
(서울=연합뉴스) 김도훈 기자 = 한국산 가상화폐 루나와 테라USD(UST)의 폭락으로 전 세계 가상화폐 약세장이 지속되고 있는 18일 서울 서초구 빗썸 고객센터 전광판에 루나 차트가 띄워져 있다. 한편 금융당국은 이와 관련해 국내 가상화폐 거래소들에 대한 긴급 점검에 나선다. 금융감독원, 금융위원회가 이번 사태를 야기한 테라 플랫폼을 조사, 감독 및 제재할 법적 권한은 없지만, 투자자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국내 투자자 현황 및 거래소들의 조치 파악에 나선 것으로 전해졌다. 2022.5.18 superdoo82@yna.co.kr

절벽처럼 떨어진 루나
(서울=연합뉴스) 류영석 기자 = 비트코인을 비롯한 가상화폐 약세장이 이어지는 가운데 17일 오전 서울 서초구 빗썸 고객센터에 최근 폭락한 루나 코인(오른쪽 화면)의 현재 시세가 표시되어 있다. 2022.5.17 ondol@yna.co.kr

(서울=연합인포맥스) 루나와 테라 사태로 가상자산 시장이 패닉상태에 빠졌다. 가상화폐 시가총액 10위권 내에 있던 루나의 가격이 99% 폭락하고, 이른바 '폰지 사기(다단계 금융사기)' 의혹까지 제기되면서 가상자산의 신뢰성에 의구심이 생겼기 때문이다. 루나와 테라는 현물뿐만 아니라 장외에서 파생상품으로도 거래된 것으로 알려져 앞으로도 그 파장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다른 가상화폐들에 대한 의심의 시선도 확대 재생산되고 있다. 비트코인과 이더리움같이 어느 정도 검증된 가상화폐와 달리 나머지 가상화폐들은 제대로 가치를 따지기가 어려워 루나와 테라처럼 언제든 폭락의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이른바 '제2의 루나 사태'가 또 나올지도 모른다는 우려도 커지고 있는 것이다.

2008년 리먼브러더스의 파산에 빗대 가상자산의 '리먼 모멘트'가 나올지 모른다는 지적도 나온다. 리먼브러더스의 파산 이후 굴지의 금융회사들이 간판을 내리고 미국뿐만 아니라 전 세계로 금융위기가 파생됐던 것을 리먼 모멘트라고 부르는데, 가상자산 시장에서도 비슷한 형태의 대혼란이 펼쳐질 수 있다는 분석이다.







일찍이 워런 버핏은 이러한 사태를 예견이라도 하듯 비트코인을 포함한 모든 가상자산을 금기시했다. 버핏이 가상자산을 부정적으로 보는 이유는 가치를 생산하지 않는다는 이유에서다. 버핏은 올해 주주총회에서도 가상자산에 대한 비판적 입장을 고수했다. 버핏의 친구이자 파트너인 찰리 멍거는 비트코인의 가치는 제로로 떨어질 수 있다며 버핏보다 더 부정적인 말을 하기도 했다.

가상자산의 몰락은 세계적으로 확산되고 있는 유동성 회수와도 맞물려 있다. 중앙은행의 돈줄 죄기가 명확해지고 특히 미국의 빅스텝 금리인상 이후 달러 가치가 급상승하면서 가상자산 시장에 들어가 있던 자금이 빠져나오고 있기 때문이다. 통상 유동성 회수기엔 가치가 가장 낮은 자산부터 정리된다. 버핏의 말이 맞다면 가치를 내재하지 않은 가상자산은 위험회피의 최우선순위에 있다고 할 수 있다. 가상자산 시장의 현재 모습을 보면 불이 난 극장에서 살기 위해 앞다퉈 튀어나오는 관객들이 연상된다.

가상화폐를 투기적으로 접근한 투자자는 말할 것도 없고 분산투자 관점에서 보유한 투자자들의 실망감은 말할 수 없이 크다고 한다. 달러 가치의 폭락을 헤지하고 안전자산으로서 금의 기능도 상당 부분 가져올 것이라는 기대감도 꺼진데다, 이제는 변동성이 극대화된 초위험자산의 모습만을 보여주고 있어서다.







알려지지 않은 미지(unknown unknowns). 현재의 가상자산은 한마디로 이렇게 표현할 수 있겠다. 극소수의 코인 신봉론자들을 제외하고 상당수의 투자자들은 자신이 '모른다는 사실조차 모르는(unknown unknown)' 상태에서 일확천금을 노리고 들어갔다가 낭패를 봤기 때문이다.

역설적으로 가상자산의 본질이 무엇인지 혼란스러운 이 때가 제도적 정비를 하고 보완점을 마련할 좋은 기회일 수 있다. 가상자산 시장 전반의 투명성을 강화해 위험을 줄이고 피해자가 나오지 않도록 해야 할 것이다. 무엇보다 코인거래소에 상장된 수많은 가상자산의 가치를 어떻게 평가하고 규범화할 것인지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 투자자들이 옥석을 가릴 수 있도록 판단하는 기준을 마련하고 이를 투명하게 공시할 수 있는 장치를 만들어 신뢰성과 공신력을 확보해야 할 것이다.(취재본부장)

jang73@yna.co.kr

(끝)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에서 10시 43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