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진국 대비 높은 PIR, 아파트 중심 성장 결과
민간부채 증가·연체율 상승 주목…안정성 문제는 적어

(서울=연합인포맥스) 이수용 기자 = 국내 가계부채는 가계 소득 대비 주택가격 비율(PIR)이 높은 수준을 유지하면서 빠르게 늘었다는 진단이 나왔다.

주택 가격 상승 과정에서도 가계 가처분 소득도 늘어 부채 안정성엔 문제가 없으나, 최근의 민간 대출 급증과 연체율 상승 환경은 주목해야 할 부분이라고 지적했다.

◇수도권 아파트 중심의 성장에 PIR 상승…부채 급증 요인

KB금융지주 경영연구소는 5일 '2023 KB 부동산 보고서'를 통해 한국 가계부채는 선진국 중 가장 높은 수준이고, 2010년 이후 증가 속도가 가장 빨랐다고 진단했다.

이는 국내 PIR이 높아 주택을 구매할 시 가계부채가 빠르게 증가하기 때문이다.

연구소에 따르면 한국의 PIR은 2021년 기준 7.6으로 호주와 비슷하며, 미국과 영국, 캐나다보다 높은 수준이다.

한국 수도권 PIR은 12.0으로 뉴욕과 런던, 토론토와 비교해도 높다.




연구소는 고가 아파트 중심의 성장이 높은 PIR의 요인이라고 지적했다.

미국과 호주, 캐나다는 단독주택 비중이 50%를 넘지만, 한국은 공동주택 비중이 75%다.

한국의 아파트는 인프라 및 건물의 질이 좋아 고가의 주거 형태 특징을 지니고, 가격을 매개기 쉬워 거래가 용이하기 때문에 선호도 또한 가장 높다.

이 때문에 한국 아파트는 서민을 위한 고밀도 저가 주택보다는 중산층 이상의 고가 주택으로 자리하게 됐다.

또한, 한국 인구의 69.6%가 도시에 사는 점도 PIR을 높이는 요인이다.

2016년부터 2021년까지 지역별 아파트 가격이 100% 이상 상승한 비중은 서울이 78%, 경기와 인천이 27%에 달하고, 5개 광역시와 기타 지방은 10%, 3%에 불과하다.

서울과 수도권 주택시장의 가파른 가격 상승은 한국 가계부채의 안정성에 대해서 의문을 유발하는 요인이라고 연구소는 설명했다.

이 외에도 연구소는 2000년대 저금리 기조로 전 세계적 가계부채 증가세와 아파트 실수요가 많은 국내 인구구조, 2010년대 규제 완화 등도 가계부채 증가의 원인이라고 덧붙였다.




◇민간 부채·연체율 상승에도 "시스템 리스크 위협 아냐"

부채 안정성 자체는 큰 문제가 없으나, 늘어난 규모 관리와 연체율 부담은 주의해야 할 요인이다.

연구소는 한국 주택가격지수가 1995년부터 2020년까지 연평균 3.1% 증가했고, 1인당 가처분소득은 연평균 4.8% 증가하면서 부동산 가격 상승에 부채 상환 능력도 같이 올랐다고 분석했다.

다만, 최근 2년을 보면 국내총생산(GDP) 대비 민간부문(가계+기업) 부채 비율은 급증했다.

유동성 확대에 따라 글로벌 주요국 모두 민간부문 부채비율이 커졌다.

선진국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당시 GDP 하락에 영향받았으나, 한국은 부채 증가 폭이 늘어나 부채비율이 커진 것이다.

연구소는 "과도한 레버리지 사용보다 경제 위기 대응 정책으로 일시적인 민간부문 대출이 늘어난 것으로, 향후 이를 어떻게 조절하며 줄여나갈 것인가가 중요하다"고 주장했다.

높아진 가계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또한 대출 상환 부담을 높여 연체 가능성을 높인다.

한국의 DSR은 2016년 10.8%에서 2021년 12.8%로 증가하면서 높은 상승률을 보였다.

위험도가 높은 수준은 아니나, 다른 선진국은 DSR이 하락했지만, 한국은 상승해 주의가 필요하다.

세부적으로는 대출 보유 가구 기준 DSR은 2016년 12.4%에서 2021년 16.1%로 상승했고, 대출금리가 300bp(100bp=1%) 상승할 경우 DSR은 20%로 추가 상승하게 된다.

연구소는 상환 부담이 증가하면서 DSR 40% 이상 고위험 차주 비중은 증가했고, 금리 인상 영향으로 더 늘어나 가계 대출 연체율은 상승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짚었다.

다만, 연구소는 규제를 통해 가계 대출이 지속해서 관리되는 점, 연체율 자체는 낮기 때문에 여유가 있다는 점 등으로 금융권 가계대출 안정성 자체는 큰 문제가 되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sylee3@yna.co.kr
(끝)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에서 09시 00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