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김지연 기자 = 구로다 하루히코 일본은행(BOJ) 총재가 퇴임 전 마지막 통화정책회의에서 정책 변화를 주지 않을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제프리 유 BNY멜론 애널리스트는 9일(현지시간) 보고서를 통해 "BOJ의 주요 정책 변화는 구로다 총재의 후임에게 넘길 가능성이 크다"며 이같이 내다봤다.

BOJ는 10일 이틀 간의 통화정책회의 결과를 발표하고, 이후 구로다 총재의 마지막 기자회견을 연다.

그는 기자회견에서 구로다 총재가 자신의 유산인 초완화적 정책의 정당성을 강조할 것으로 예상했다.

유 애널리스트는 "만일 지난 몇 년간 글로벌 공급 충격과 성장률 둔화가 발생하지 않았다면 BOJ의 양적완화 정책을 정당화하기가 훨씬 쉬웠을 것"이라며 구로다 총재가 전임자들과 달리 일본 정부와 일관성을 가진 정책을 펴며 일본 개혁의 밑거름을 마련했다고 평가했다.

BOJ가 초완화책을 통해 실질 금리를 낮추면서 아베 신조 전 정부가 고령화로 인구 구조가 급격하게 변하는 일본 사회의 노동 개혁에 나설 수 있었다는 게 유 애널리스트의 생각이다.

그러면서 유 애널리스트는 일본의 순 외국인 투자 포지션과 높은 저축률에도 불구하고, 차기 BOJ 총재가 수익률 곡선 통제(YCC) 정책을 포기하는 것은 일본의 실질 금리를 끌어올리고, 개혁 비용을 높일 수 있어 부담으로 작용할 것으로 내다봤다.

그는 높은 인플레이션 환경 속에서도 확대 재정정책과 구조개혁의 비용을 낮게 유지할 수 있다는 확신이 생긴다면 BOJ가 정책 수정에 나설 여지가 있다며 "후임자인 우에다 가즈오 총재가 당분간 정책 수정 전 상황을 관망할 것"으로 예상했다.

한편, 유 애널리스트는 BOJ의 대차대조표 확대 정책이 2022년까지는 엔화를 낮추는 데 큰 효과를 보이지 않았다는 점도 지적했다.

2013~2014년까지는 BOJ의 완화책이 엔화를 하락시키는 효과를 나타냈지만, 그 후 18개월간 엔화는 BOJ 의도와 달리 엔화가 높은 변동성을 보였다는 것이다. 이런 경향은 지난해 12월까지 이어졌으며 구로다 총재 재임 기간 BOJ가 신뢰를 잃었던 유일한 기간이라고 유 애널리스트는 평가했다.

유 애널리스트는 후임자인 우에다 총재 체제하에서 가장 기대되는 바로는 일본의 실질 임금 상승 정책을 펼지 여부라고 진단했다.

일본은행은 물가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임금 인상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여러 차례 강조해왔다.

그는 "일본 내 낮은 인플레이션 기대를 고려하면 임금을 끌어올리려는 시도가 받아들여질 수 있다"며 일본 노동시장 내 임금은 부문별로 큰 차이를 보이지만, 실질 임금이 2020년 이후 하락세를 보인다고 지적했다.

후생노동성이 발표한 1월 근로통계조사에 따르면 1인당 임금은 물가변동을 고려한 실질 기준으로 전년 동월 대비 4.1% 하락했다. 1월 기준으로는 1991년 이후 최대 하락 폭이다.

유 애널리스트는 "기업들이 실질 임금 상승이 승수 효과를 통해 경제 전반의 성장과 수요를 확장시킬 것이란 점을 깨닫게 해야 한다"며 "지난 3년간 '전국기업 단기경제관측조사(短觀·단칸)'에서 기업의 생산자 물가가 일반 물가 전망을 1.5bp 웃돈 것은 기업들이 실질 임금은 상당 부분을 전가하려고 시도한 것"이라고 분석했다.

그는 "일본이 외부 원자재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 점을 고려하면 공급충격에 노출될 수 있다"고 인정하면서도 "생산자 물가와 일반 물가 간의 스프레드 확대는 향후 BOJ에게 정책 조정을 위한 여지를 남겼다"고 덧붙였다.

jykim@yna.co.kr
(끝)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에서 2시간 더 빠른 10시 22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