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정필중 박경은 기자 = 금융투자협회가 상장공모펀드 협의체를 구성했다. 공모펀드 상장 의지가 강한 자산운용사를 중심으로 관련 상품 리스트를 받고 있어 공모펀드 활성화 방안 추진에도 탄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18일 자산운용업계에 따르면 금융투자협회는 최근 상장공모펀드 협의체를 구성해 자산운용사들과 상장 상품에 대해 논의하고 있다. 실제 상장 의지가 강한 운용사를 대상으로 협의체를 만들어 상장 공모펀드를 우선 선보이겠다는 의도다.

금투협 관계자는 "공모펀드 활성화 방안 발표 이후 업계도 준비해야 하니 좀 더 논의를 가지자는 차원에서 구성했다"며 "이전부터 업계와 관련 상품 적절성 등을 논의해왔고, 현재 상품군이 추려지는 과정에 있다"고 말했다.

금융당국은 작년부터 금투협, 한국거래소 등과 TF를 구성해 공모펀드 활성화 방안을 준비했다. 그 과정에서 금투협은 업계 의견을 수렴하고자 작년 4분기 무렵 각 운용사로부터 상장할 의향이 있는 공모펀드 목록을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협의체가 구성됐다지만, 협의체 참가 운용사들이 희망하는 공모펀드 전부가 상장되진 않을 것으로 보인다.

상장공모펀드의 핵심은 상장지수펀드(ETF)의 인프라를 활용한다는 점에 있다. ETF처럼 한국거래소에 상장돼 자유롭게 매매할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해 공모펀드의 접근성을 높인다는 게 주된 골자다.

그러려면 해당 상장공모펀드의 유동성을 공급하겠다는 증권사, 즉 유동성 공급자(LP)가 있어야 한다. LP는 해당 ETF에 유동성을 공급하고자 매매하는 과정에서 이와 반대되는 포지션을 취해 리스크를 헤지하고 있다.

이에 비교적 헤지하기 쉬운 펀드들이 선정될 것으로 예측된다. 가령, 중소형주에 주로 투자하는 펀드보다는 국내 우량 주식에 투자하는 펀드가 헤지하기 상대적으로 쉬워 선정 과정에서 좀 더 유리할 수 있단 뜻이다.

펀드 규모 역시 고려될 것으로 보인다.

이번 상장은 금융규제 샌드박스 제도를 통해 이루어진다. 시장 안착 여부를 테스트하는 게 주된 목적 중 하나이기에 일정 수준 이상의 규모를 갖춘 검증된 상품이 선정될 가능성이 크다. 여타 상품보다 좀 더 활발하게 거래될 수 있기 때문이다.

상장공모펀드에 지원하는 운용사 입장에서는 선결 과제가 남아 있다.

기존 펀드의 거래소 상장은 해당 펀드 수익자의 이해와 맞닿아 있는 만큼 수익자들의 동의를 받아야 한다. 금투협은 수익자들의 동의를 구하는 별도 절차를 마련한다는 방침이나, 방법론에 대한 구체적인 안은 아직 확정되진 않아 추진 과정에서 논의할 것으로 보인다.

대형사 위주로 펀드가 선정될 수 있다는 점도 업계 우려 요인 중 하나로 꼽힌다.

운용사마다 대표 펀드가 있지만 절대적인 규모 차원에서는 대형사가 우위인 경우가 많다. 거래가 활발하게 이루어질 가능성이 높은 펀드를 선별하는 것도 중요하나, 중소형 운용사와 대형 운용사 간의 균형을 어떻게 맞출지도 관건이라는 해석이다.

자산운용사 한 관계자는 "회사마다 대표 펀드가 있다고는 하나 대형사의 중간 규모 펀드에 미치지 못하는 경우도 더러 있다"며 "장기 수익률 등 입체적으로 접근할 필요는 있어 보인다"고 말했다.

서울 금융중심지 여의도
[서울시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joongjp@yna.co.kr
gepark@yna.co.kr

(끝)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에서 09시 42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