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오유경 기자 = 삼성그룹이 10년간 총 1조5천억원을 출연해 지원하는 미래기술 육성사업의 올해 1차 과제 40개를 선정해 10일 발표했다.

삼성은 국가 미래기술 육성 차원에서 기초과학과 소재기술, ICT(정보통신기술) 등 3개 분야의 과제를 선정해 지원하는데 지난해 처음으로 26개 과제를 뽑아 연구비를 지원한데 이어 이번이 두번째다.

기초과학 분야에서는 단백질에 기인한 불치병인 치매와 알츠하이머 등의 원인과 해결 방안을 제시하는 생체분자 네트워크 연구 등 17건이 선정됐다.

소재기술 분야에서는 신개념 다공성 메타물질을 이용해 아파트 층간 소음을 제거하는 흡차음(吸遮音) 물질 연구 과제 등 10건이 뽑혔다.

ICT 창의과제 분야에서는 초음파가 가청(可聽) 음파로 변조되는 현상을 이용해 이어폰 없이도 특정인에게 원하는 소리를 전달하는 연구 과제 등 13건이 선정됐다.

기초과학 심사위원장으로 참여한 국양 서울대 교수는 "약 70여명의 심사위원들이 며칠간 합숙하면서 기본개념을 점검하는 토론을 통해 창의적이고, 도전적인 과제를 선정했다"며 "노벨 수상자 등 해외심사에 참여한 해외 석학들도 과제의 질이 매우 높다는 의견을 피력했다"고 말했다.

삼성은 연간 2회에 걸쳐 과제 심사를 진행한다. 올해 2차 사업은 6월13일까지 과제를 접수해 7월에 서면심사를 진행할 예정이다.



<삼성미래기술육성재단 선정과제 리스트(기초과학)(연구책임자 가나다 순)>



연구 과제 소속기관연구책임자
확률 등각 사상
및 확률 정규 행렬의
기하학
서울대

강남규 교수

비국소 연산자를
갖는 확률편미분방정
식 연구
고려대

김경훈 교수

분자 핵간
공간제어를 통한
Nonadiabatic 화학반응
컨트롤
KAIST


김상규 교수


대사체-단백질
결합 네트워크에 기반
하는
KAIST




김세윤 교수




암세포 성장
조절 연구
궤도 각운동량
Dzyaloshinskii-
Moriya 상호작용 연구
연세대

김창영 교수

에너지 최대
전달 원리 규명 및 완
전 무반사 메타물질 개
고려대


박규환 교수


자연광에서
동작하는 메가-비선형
성 무지개 물질 연구
KAIST

신종화 교수

다기능
상호협동성 촉매반응
연구
이화여대

이상기 교수

고압-고분해능-고체
NMR 프로브의 개발 및
비정질 물질의
서울대




이성근 교수




극한환경하의
원자구조 규명
장뇌축
(Gut-Brain Axis) 연
서울대

이원재 교수

Site-Specific
DNA Mapping by Using
Carbene Probe
울산과기대

이현우 교수

전자구조 및
최적화 계산을 통한
특정 물성을 갖는
KAIST




장기주 교수




신물질
디자인 연구
질병 유발
단백질의 세포간 감염
및 전달
서울대

정용근 교수

Ultrafast
Intercellular and
Bulk Water Dynamics
고려대

조민행 교수

다체계 시스템의
확률/갇힌 매질하에서
의 역동성 연구
서울대

하승열 교수

생체분자
네트워크 연구를 위한
숙명여대




함시현 교수




Fluctuating
Thermodynamics 분야
개척
N-말단
포밀레이션 단백질 분
해 경로 연구
포스텍

황철상 교수





<삼성미래기술육성센터 선정과제 리스트(소재기술, ICT 창의과제)(연구책임자 가나다 순)>



<table border style='border:1;border-spacing:0'><tr><td>연구 과제 </td><td>소속기관</td><td>연구책임자</td></tr><tr><td>공융<br>결정화(Eutectic <br>Crystallization) 를 이<br>용한</td><td rowspan=2>한양대<br><br><br><br><br><br></td><td rowspan=2>강영종 교수 <br><br><br><br><br><br></td></tr><tr><td>고분자<br>단결정소자 개발 </td></tr><tr><td>조절된<br>열팽창계수를 갖는 </td><td rowspan=2>KAIST <br><br><br><br><br></td><td rowspan=2>김상율 교수 <br><br><br><br><br></td></tr><tr><td>투명 고내열 <br>유기고분자의 합성과 <br>유연 전자소자 응용</td></tr><tr><td>스큐 메타포러스 <br>흡차음 물질 연구</td><td>서울대<br></td><td>김윤영 교수 <br></td></tr><tr><td>효율 50%<br>All-2D-Nitrides UV<br>에미터</td><td>포스텍<br><br></td><td>김종규 교수 <br><br></td></tr><tr><td>새로운 양이온 <br>저장 메커니즘을 갖는<br>에너지 저장용 </td><td rowspan=2>성균관대<br><br><br><br><br></td><td rowspan=2>김지만 교수 <br><br><br><br><br></td></tr><tr><td>스마트 전극소재 <br>개발연구</td></tr><tr><td>단백질 기반 <br>플래시 메모리 </td><td>건국대<br></td><td>김진태 교수 <br></td></tr><tr><td>Net-Drone:<br>Drone Fleet 기반 네 <br>트워킹 인프라 </td><td>고려대<br><br></td><td>김황남 교수 <br><br></td></tr><tr><td>인공생체 시스템 <br>구현을 위한 펩타이드<br>하이브리드 재료 개발</td><td>서울대<br><br></td><td>남기태 교수 <br><br></td></tr><tr><td>Private <br>Audio Communication <br>System</td><td>포스텍<br><br></td><td>문원규 교수 <br><br></td></tr><tr><td>리소그래피 기반 <br>마이크로-에너지 저장<br>소재/소자 개발</td><td>서강대<br><br></td><td>문준혁 교수 <br><br></td></tr><tr><td>진단 및 치료를<br>위한 박테리아와 전자<br>기 제어가 융합된</td><td rowspan=2>전남대<br><br><br><br><br></td><td rowspan=2>박석호 교수 <br><br><br><br><br></td></tr><tr><td>hybrid<br>마이크로 로봇 </td></tr><tr><td>새로운 뇌 영상<br>Modality “Neuronal <br>Resonance MRI”개발 </td><td>KAIST <br><br></td><td>박성홍 교수 <br><br></td></tr><tr><td>심초음파<br>유도 방식이 적용된<br>로봇 심폐 소생술 장비 <br>의 개발 </td><td>서울대<br><br><br></td><td>서길준 교수 <br><br><br></td></tr><tr><td>영상기반 반투명 <br>물체 3차원 복원 기술<br>개발</td><td>국민대<br><br></td><td>윤상민 교수 <br><br></td></tr><tr><td>재귀반사 기반의 <br>비분광식 바이오 센서<br>플랫폼</td><td>아주대<br><br></td><td>윤현철 교수 <br><br></td></tr><tr><td colspan=3>  </td></tr><tr><td>탄소 양자점 발색단의<br>화학적 조절과 발색 기 <br>작 연구 </td><td>포스텍<br><br></td><td>이시우 교수 <br><br></td></tr><tr><td>백스캐터 접속형 <br>무선 전력 전송 시스 <br>템</td><td>고려대<br><br></td><td>이원준 교수 <br><br></td></tr><tr><td>NW+NQD+SP <br>기술에 의한 RGB 및<br>White Nanowire LED-on-<br>Si개발</td><td>전북대<br><br><br></td><td>이철로 교수 <br><br><br></td></tr><tr><td>분자기반<br>인공지능이 가능한 <br>DNA 컴퓨팅 응용기술 연<br>구</td><td>서울대<br><br><br></td><td>장병탁 교수 <br><br><br></td></tr><tr><td>전파와 빛의 <br>경계영역인 테라헤르 <br>츠 대역 </td><td rowspan=2>광주과기원<br><br><br><br><br></td><td rowspan=2>장재형 교수 <br><br><br><br><br></td></tr><tr><td>단일톤<br>신호원 연구 </td></tr><tr><td>바이오몰레트론으로<br>구성된 생물전자소자 <br>플랫폼 개발 </td><td>서강대<br><br></td><td>최정우 교수 <br><br></td></tr><tr><td>안질환용 원격 <br>헬스케어를 위한 스마<br>트 렌즈 </td><td>포스텍<br><br></td><td>한세광 교수 <br><br></td></tr><tr><td>조 단위 <br>규모의 초대용량 그래<br>프 처리 엔진</td><td>포스텍<br><br></td><td>한욱신 교수 <br><br></td></tr></table>

ykoh@yna.co.kr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