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노현우 기자 = 조선업에서 시작된 구조조정 불길이 취약업종으로 분류되는 건설업까지 번질지 주목된다. 저유가, 주택경기 전망 등을 통해 볼 때 건설업 전망도 밝지 않은 것으로 진단되기 때문이다. 다만 전문가들은 건설업 전반에 대한 구조조정이 이뤄질 가능성은 크지 않다고 내다봤다.

한국기업평가는 26일 '5대업종 구조조정과 신용등급의 방향성' 보고서에서 "지난해 주택경기 호조로 신규수주가 대폭 증가한 점을 고려하면 단기 내 (건설업 전반으로) 구조조정이 확대될 가능성은 낮다"고 평가했다.

한기평이 등급을 보유한 24개 건설사의 수익성은 지난 2013년을 기준으로 회복세를 보였다.

이들 기업의 합산 재무실적 중 이자·세전이익(EBIT)/매출액은 지난 2013년 0.6%에서 지난 2014년 1.9%로 올라선 후 작년 2.3%를 기록했다. 세전순이익도 지난 2013년 대규모 적자를 기록한 데서 벗어나 지난 2015년 흑자로 전환됐다.

건설사들의 재무안정성이 개선된 점도 구조조정 가능성을 낮게 보는 이유다.

해당 기업들의 순차입규모는 7조4천억원으로 금융위기 이후 최저수준을 기록했고, 차입금의존도, 부채비율 등 재무안정성 지표도 개선됐다. 건설사들이 업황 부진에 대응해 일부 자산을 매각하고 유상증자에 나서는 등 재무구조를 보완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였기 때문이다.

정부도 현재로서는 건설업 전반에 대한 구조조정에 무게를 두고 있지 않은 것으로 진단됐다.

정부 관계자는 "인위적인 구조조정에 나서기보다는 입찰 보증제도의 변별력을 높여 부실기업을 퇴출시키는 방향으로 정책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해외수주 축소 등으로 건설사들의 먹거리가 줄어든 상황에서 모든 건설사를 키워주기보다는 우수 건설사를 선별해 육성하겠다는 의미다. 자격을 갖추지 못한 기업이 도태되면 자연스레 구조조정 효과도 낼 수 있다.

다만 최근 금융시장에서 일부 건설사들의 차입금 만기 사이클이 짧아지는 등 금융부담이 커진 점은 눈여겨볼 대목이다. 자금조달에 실패한 기업들이 늘어나면 건설업 전반에 대한 구조조정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커질 수 있어서다.

한기평은 "건설업체에 대한 금융시장 우려가 확대되면서 신용도가 상대적으로 열위한 BBB급 이하 업체의 자금조달 단기화가 심화되고 있다"며 "보유 현금성자산, 만기도래 차입금 및 상환대책, 재무구조 개선계획의 실행 여부에 대해서 모니터링을 지속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건설사 단기성차입금 비중(좌)·현금성자산/단기성 차입금, 출처:한기평, 각사 감사보고서>

hwroh@yna.co.kr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