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이재헌 기자 = 대략 40년 뒤에는 우리나라 노년부양비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에서 최고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상대적으로 빠른 고령화에 대응하기 위해 노동력을 대체할 기술발전이 중요하다고 진단됐다.

대통령 직속 국가균형발전위원회(균형위)와 국토연구원은 15일 공동으로 발간한 '균형발전 모니터링 & 이슈 브리프(Brief)'에서 오는 2065년 우리나라의 노년부양비가 76%에 달할 것으로 전망했다.

노년부양비는 생산가능인구(15~64세) 100명에 대한 고령(65세 이상) 인구의 비율을 뜻한다.





지난 2019년 기준으로 OECD 회원국 중에서 노년부양비가 가장 높은 국가는 일본(54%)이다. 우리나라의 노년부양비는 21.6%로 OECD 평균(29.8%)을 밑돌았다. 그러나 약 40여년이 지나면 우리나라가 일본을 제치고 OECD 국가 중 최고 노년부양비를 기록할 것으로 균형위와 국토연은 내다봤다.

낮은 출산율에 따른 빠른 고령화가 원인이다. 고령화는 비수도권에서 두드러져 2047년에 수도권 노년부양비는 66.0%, 비수도권 노년부양비는 81.8%로 예측됐다. 지금보다 격차가 더 벌어진다. 고령화와 비도시지역 청년층 유출이 모두 OECD 평균보다 높다고 분석됐다.

인구·지역 변화에 대응할 대책을 만들고 삶의 질을 개선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균형위는 "인구 감소와 고령화에 따른 환경 변화로 인해 잠재적 비용과 위협이 수반될 수 있어 대응할 수 있는 지속가능한 대응책 마련이 필요하다"며 "일본과 같이 인구 고령화를 우리보다 먼저 겪고 있는 국가들은 인간의 노동 작업을 대체할 수 있는 산업용 로봇과 자동화 기술을 활용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지역의 균형발전을 위해 다양한 부문의 불균형 완화를 통한 삶의 질 개선이 필요하다"고 부연했다.

jhlee2@yna.co.kr

(끝)

본 기사는 인포맥스 금융정보 단말기에서 16시 00분에 서비스된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