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장용욱 기자= 삼성그룹의 계열사 사업재편이 연말인사를 앞두고 동시다발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4일 재계에 따르면 이번 사업재편은 계열사 간 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한 조치로 풀이된다. 이와 함께 사업재편 대상 기업이 오너 일가와 연관성이 큰 곳이어서 후계구도 등과도 연관성이 있을 것이란 분석도 제기되고 있다.

◇ 동시다발적 사업재편…삼성 "효율성 제고 위해" = 삼성에버랜드는 이날 공시를 통해 건물관리 사업을 에스원에 4천800억원에 양도하고, 급식 및 식자재 사업은 물적 분할해 '삼성웰스토리(가칭)'를 신설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이와 앞서 에버랜드는 지난 9월 23일에는 제일모직으로부터 패션사업부문 일체를 1조500억원에 양도받기로 했다고 밝히기도 했다.

이에 대해 에버랜드 측은 주력사업을 '건설ㆍ레저ㆍ패션' 사업에 집중하려는 조치라고 설명했다.

제일모직 역시 전자소재 전문기업으로 기업 체질을 강화하려는 것이라고 밝혔다.

또, 삼성디스플레이는 지난달 23일 미국 코닝사와의 합작사인 삼성코닝정밀소재의 지분 43%를 전량 코닝 측에 넘긴다고 발표했다.

삼성디스플레이는 코닝 측과 지분교환 과정에서 1조3천억원 가량의 현금이 유입돼 OLED(유기발광다이오드) 부문에 대한 투자금을 확보할 전망이다.

삼성SDS 역시 지난 9월 27일 공시를 통해 삼성SNS를 흡수합병한다고 밝혔다.

삼성SDS 측은 "SDS는 기업의 정보화 시스템을 통합ㆍ구축, 삼성SNS는 통신망 구축과 기업네트워크 구축 등을 맡고 있어 양사 간 사업 연관성은 높은 편"이라며 "합병을 통해 양사의 역량을 결합해 해외시장 확대의 기반을 마련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삼성 측은 이러한 일련의 사업재편 조치에 대해 오로지 사업효율성만을 염두에 둔 조치라고 강조한다.

◇ 다른 속뜻은?…'경영권 승계', '일감몰아주기' 관련성 주목 = 하지만 재계 일부에서는 사업적인 이유뿐 아니라 다른 '속뜻'이 있는 것이 아니냐는 추측도 나오고 있다.

우선 사업구조 재편 대상 중 에버랜드와 삼성SDS 등은 오너 3세의 지분율이 높은 비상장사라는 점에 이목이 쏠리고 있다.

실제로 에버랜드의 경우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 25.10%의 지분율로 최대주주에 올라 있고, 이부진 호텔신라 사장과 이서현 제일모직 부사장도 각각 8.37%씩을 보유하고 있다.

삼성SDS의 경우에도 이재용 부회장이 개인 주주로서는 가장 많은 지분인 8.81%를 확보하고 있고, 이부진 사장과 이서현 부사장도 각각 4.18%의 지분을 가지고 있다.

특히 이 부회장은 삼성SDS와 합병되는 삼성SNS의 최대주주로 45.7%의 지분을 확보하고 있다. 이 덕분에 합병이 완료되면 이 부회장의 삼성SDS 지분율은 11.3%로 2.5%p가량 높아지게 된다.

결국 에버랜드와 삼성SDS가 사업재편을 통해 기업가치를 끌어올리거나 규모를 확대하면, 이는 곧 많은 지분을 보유한 오너 3세의 자금력 확대로 이어진다.

게다가 이번 사업재편으로 그동안 제일모직에서 패션사업을 맡아왔던 이 부사장이 에버랜드로 이동할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이 경우 현재 에버랜드의 경영전략담당 사장이자 언니인 이 사장이 호텔신라 등 다른 계열사 경영에만 집중할 수 있다는 전망이 제기된다.

이 때문에 일부에서는 에버랜드와 삼성SDS 등을 둘러싼 사업재편이 오너 3세들의 경영권 승계과정과 연관이 있는 것이 아니냐는 관측이 제기되는 것이다.

재계의 한 관계자는 "계열사 간 합병과 사업부 이동은 그룹 차원에서 진행되는 것"이라며 "에버랜드와 SDS 등은 오너 3세들과 여러모로 연관이 깊어서 단순한 사업재편 이상의 의미가 있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또 한편에서는 최근의 사업재편 과정이 '일감몰아주기' 규제를 의식해 내부거래 비중을 낮추려는 의도도 포함된 것으로 보기도 한다.

현재 입법 예고 중인 공정거래법 시행령 개정안은 '대기업 집단 중 총수 일가 지분이 30% 이상(비상장사는 20% 이상)인 계열사이면서 내부거래 규모가 '연간 매출액의 12% 이상, 거래 규모 200억 원 이상인 곳'을 일감몰아주기 규제대상으로 삼고 있다.

에버랜드와 삼성SNS 등의 경우에는 오너가의 지분율이 높을 뿐 아니라, 내부거래 비중이 각각 46.4%, 55.62%에 달한다.

재계의 다른 관계자는 "최근 대기업의 일감몰아주기에 대한 사회적인 비판 여론이 높은 상황을 고려해 사업재편은 내부거래 비중을 줄이려는 의도가 반영됐을 것"이라고 추정했다.

yujang@yna.co.kr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