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노현우 기자 = 인구 고령화가 초과 공급 상태인 국내 주택시장에 재차 충격을 가할 수 있다는 경고가 나왔다.

손정락 하나금융경영연구소 연구위원은 2일 한국주택학회 주최로 서울 성동구 한양대 신소재 공학관에서 열린 정기학술대회에서 "고령화로 인해 노령층이 보유주택을 처분해 부채를 상환하고 생활자금을 마련할 가능성이 크다"며 "노령층이 본격적으로 주택매각에 나설 경우 또 한 번의 공급충격이 발생할 수 있다"고 말했다.

손 연구위원은 노령층의 주택 처분이 본격화될 경우 시장에 나오는 물량이 36만호에 달할 것으로 추정했다. 지난 2014년 기준 60대 이상 노령층이 보유한 주택 435만호에 부채가구 비중(47%)과 한계가구 비율(17.5%)을 곱해 산출한 수치다.

작년과 올해 초과분양물량 22만호의 160%에 달하는 주택이 추가 공급되면서 주택가격에 하방압력을 더할 수 있다는 게 손 연구위원의 설명이다.

국내의 고령화 속도는 유례가 없는 것으로 진단됐다.

한국은 고령사회에서 초고령사회로 진입하는 데 불과 8년으로 주요국(31년)보다 4배 빠르다.

고령층 가계의 재무 건전성 악화도 우려 요인으로 언급됐다.

손 연구위원은 60대 이상 고령층의 원리금 상환부담이 전 세대 중 가장 빠르게 상승했다며 60대 이상의 채무상환비율(DSR)은 지난 2012년 20.1%에서 작년 32.8%로 급상승했다고 설명했다.

공급은 급증하는 가운데 인구 구조상 이를 떠받칠 수요층은 줄어들 것으로 전망됐다.

통계청에 따르면 주택시장의 주된 수요층인 35~54세 가구는 지난 2013년 이후부터 감소세를 보였다. 작년부터 오는 2019년 기간에는 감소 폭이 연평균 8만1천호로 최대 수준을 나타낼 것으로 예상됐다.

손 연구위원은 소득 안정성이 약화하고 주택가격 하락에 대한 불안이 커진 데 따른 영향으로 유효 주택구매수요도 위축될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주택연금을 확대하고, 자산축적을 지원하는 금융상품 등 시장진입세대의 자산제약을 완화할 주택금융상품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hwroh@yna.co.kr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