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백웅기 기자 = 우리나라 제조업의 4차 산업혁명 관련 주요 기술 수준이 선진국에 4년 정도 뒤처진 것으로 조사됐다.

산업연구원(KIET)은 24일 발표한 '한국 제조업의 4차 산업혁명 대응 현황과 평가'라는 제목의 보고서를 통해 국내 제조업 대부분이 2020년께 4차 산업혁명 기술에 대한 활용계획 수립이 마무리돼 실행 초기 단계에 진입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미 국내 제조업은 4차 산업혁명 주요 범용기술 가운데 우리가 강점을 보이는 정보통신기술(ICT)을 스마트공장 등에 활발히 적용 중이다.

그러나 연구원은 우리 제조업의 4차 산업혁명에 대한 대응은 아직 선진국 대비 약 4년의 격차가 있다고 진단했다.









가치사슬별로 제조·공정이 가장 대응수준이 높지만 이 역시 선진 기업에 비해서는 2년 정도 뒤처진 것으로 평가됐다.

제조·공정 분야가 다른 분야보다 격차가 작은 것은 4차 산업혁명 담론이 본격화하기 이전부터 ICT를 활발히 적용하고, 대기업 중심 공정 자동화가 상당히 진행된 결과라고 분석하기도 했다.

반면, 개별 공정 간 혹은 가치사슬 내 연결성과 방대한 공정 데이터를 수집·분석·조정·제어하는 지능성, 이를 통합하는 플랫폼 완성도 측면에선 선진기업과 격차가 크게 벌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정은미 연구위원은 "원료조달(소재), 연구개발, 디자인 등 제조 전 단계 가치사슬 영역과 물류, 마케팅 등 제조 후 단계 영역은 상대적으로 우리 대응이 미흡하다"며 "수직화된 산업 간 분업체계가 장기 지속하면서 제조 서비스업 자생력과 경쟁력이 뒤처진 산업 구조 특정 때문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그는 이를 두고 "수평적 협업관계 확산과 제조기업 외부 역량 활용, 연계융합과 네트워크화에 매우 취약하다는 점을 시사하는 것"이라고 부연했다.

연구원은 4차 산업혁명이 제조업 부문 가치사슬 영역별로 다른 산업이나 영역과의 전면적 융·복합화를 가져오면서 앞으로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 출현으로 경쟁방식도 변화시킬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때 기존 산업간 연계가 수직적 분업관계에서 수평적 협업관계로 전환이 가속화하면서 외부 역량 활용 능력이 산업이나 기업의 경쟁 원천이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에 정 연구위원은 "기존 제조업과 산업정책에 대한 고정관념, 제조업과 서비스업이라는 이분법적 사고에서 벗어나 새로운 여건 변화에 신속한 대응이 가능한 역량을 높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또 "인력에 요구되는 직무나 직능이 달라질 것으로 예상되고 인력에 대한 직능수준이 높아지거나 단순해지는 양극화 현상 심화할 것"이라며 "일자리 문제에 대해 정부는 소멸하는 일자리에서 방출되는 인력과 새로운 일자리 출현에 적극적으로 대응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wkpack@yna.co.kr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