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김지연 기자 = 국내 모험자본 시장에서 선순환체계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창업기업에 특화된 전문투자자를 육성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김종민 자본시장연구원 연구원은 6일 서울시 여의도 금융투자협회에서 열린 세미나에서 "액셀러레이터, 엔젤, 벤처캐피탈 등 기존 전문투자자의 역할을 강화하고, 크라우드펀딩이나 사모펀드 등 자본시장을 활용한 자금조달방식을 활성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모험자본은 창업기업의 혁신에 필요한 자금을 공급하고 성장을 지원하는 민간 전문투자자다.

여러 연구결과에 따르면 벤처캐피탈과 같은 모험자본이 투자한 창업기업의 혁신활동이 우수하며, 국내총생산(GDP) 창출 효과와 고용창출 효과도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김 연구원은 "모험자본시장의 구조와 발전양상은 국가마다 다르지만, 최근 미국과 유럽 등 유럽 국가에서는 창업 초기 기업에 투자하는 모험자본시장이 발전하고 있다"고 말했다.

최근 우리나라도 창업기업을 지원하고 관련 모험자본시장을 육성하기 위해 증권형 크라우드펀딩 도입, 액셀러레이터 제도화, 정부의 지원과 투자확대 등에 노력하고 있다.

김 연구원은 "그러나 국내에서는 정부의 제도적 틀 안에서 창업기업 관련 투자시장이 형성돼 민간 중심의 모험자본 생태계가 조성되기 어려운 한계가 존재한다"고 지적했다.

실제 벤처기업 중 벤처캐피탈 등 벤처투자기관의 투자를 받은 벤처투자기업의 비중은 3.7%에 불과하지만, 보증ㆍ대출 관련 정책금융기관으로부터 벤처기업 확인을 받은 기업은 9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그는 따라서 "창업기업에 특화된 전문투자자를 육성하고, 정책자금 운용의 효율성을 높일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정부의 지원은 기업의 특성 및 정책목표에 따라 차등화하고, 정책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정부의 직접지원보다는 민간 모험자본을 활용한 간접 또는 위탁운용 방식의 지분투자를 보다 활성화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날 세미나에서는 모험자본 회수시장 활성화를 위해서도 정부의 정책지원은 시장실패 차단에만 국한돼야 한다는 제언도 나왔다.

김준석 자본시장연구원 연구원은 "모험자본 회수시장에 대한 정책적 지원은 시장형성 초기 단계에 효과를 거둘 수 있지만, 시장 참여자의 자생력을 저하하고, 평판시장 형성을 방해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모험자본 회수시장 활성화를 위해서는 시장주도형 회수시장 성장, 국내 증권사의 모험자본 업무역량 제고, 거래시장 구조의 개선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jykim@yna.co.kr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