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민은행, 유동성 조절기구 활용할 듯



(서울=연합인포맥스) 윤영숙 기자 =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Fed)의 추가 금리 인상 가능성이 커지는 가운데, 연준을 따라 금리를 올릴 아시아 국가 중 중국은 아닐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14일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따르면 애널리스트들은 중국이 연준을 따라 조만간 기준금리를 올리진 않을 것으로 내다봤다.

다만 아시아 국가 중에 첫 금리 인상에 나설 국가로는 한국과 필리핀 등이 지목됐다.

중국은 지난 2년간 기준금리를 동결해왔으며 역환매조건부채권(역RP) 등 공개시장 운영을 통해 유동성을 조절해왔다.

코메르츠방크의 주 하오 신흥시장 담당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올해 안에 아시아 중앙은행 중 한 곳이 첫 금리 인상에 나설 가능성이 매우 크다"라면서도 이 중에서 중국은 아닐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한국과 필리핀이 선두에 설 것으로 보인다"라고 덧붙였다.

주 이코노미스트는 중국은 지난 10년간 금리 자유화 조치로 기준금리가 은행권과 경제에 제 역할을 못 하고 있어 기준금리 인상을 서두르지 않으리라고 내다봤다.

그는 "중국은 기준금리를 바꾸지 않고도 정책 목표를 달성할 수 있다는 것을 증명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는 정책금리의 조정 없이도 인민은행이 중기유동성조절창구(MLF), 단기유동성지원창구(SLF) 등을 통해 충분히 유동성을 조절해 원하는 효과를 내고 있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스탠다드차타드(SC) 은행의 딩 슈앙 수석 이코노미스트도 인민은행이 유동성이나 시장 금리를 조절하는 등 작지만 유연한 조치를 계속 이용할 것으로 내다봤다.

딩 이코노미스트는 "인민은행이 역 RP금리의 추가 인상이나 MLF의 금리 인상에 나설 수 있다"고 말했다.

인민은행은 지난 2월과 3월에 역RP 금리를 10bp씩 인상하고, 3월에는 MLF 금리도 10bp씩 올렸다.

노무라의 자오양 수석 이코노미스트도 중국은 연준을 따라 서둘러 금리를 인상하지 않을 것이라며 자국의 통화정책이 독립성을 유지하길 바라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자오는 더 중요한 것은 중국 경제의 펀더멘털이 정책금리의 인상을 필요로하지 않고 있다고 강조했다.

중국 소비자물가지수가 빠르게 반등하고 있으나 여전히 정부의 목표치 내에 있고, 지금은 당국이 경기 과열보다 경기 부진에 대해 더욱 우려하고 있다는 점에서 금리 인상이 시급하지 않다는 게 전문가들의 설명이다.

중국 중앙은행법에 따르면 정책금리의 변화는 국무원이 결정한다. 이는 중국 당국이 인플레이션이나 경기 과열을 걱정하기 전까지 정책금리의 변화는 없을 것을 시사한다.

중국이 마지막으로 정책금리를 인상한 때는 2011년 7월이다.

ysyoon@yna.co.kr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