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최욱 기자 = KT의 시가총액이 2년 3개월 만에 7조원 아래로 떨어졌다. 올해 1분기 실적 부진 전망과 거세지고 있는 통신비 인하 압박이 주가에 부정적 영향을 줬다는 분석이다.

시장에서는 KT가 정부의 통신비 규제 강화에도 확실한 실적 반등을 보여줘야 기업가치가 다시 상승곡선을 그릴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16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지난 13일 유가증권시장에서 KT는 전일보다 2.91% 하락한 2만6천700원에 장을 마쳤다.

이는 올해 들어 종가 기준으로 가장 낮은 가격이다. KT는 장중 한때 2만6천650원까지 떨어지며 52주 신저가를 기록하기도 했다.

최근 주가 약세가 이어지면서 지난 13일 종가 기준 KT의 시가총액은 6조9천717억원까지 쪼그라든 상태다. KT의 시총이 7조원 아래로 떨어진 것은 지난 2016년 1월 26일 이후 약 2년 3개월 만이다.





증권가에서는 주가 하락의 원인으로 1분기 실적 부진 전망과 통신비 규제 강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는 점을 꼽았다.

연합인포맥스가 최근 2개월간 증권사 6곳이 제시한 실적 전망치를 집계한 결과 KT의 올해 1분기 영업이익은 3천836억원으로 예상됐다.

이는 전년 같은 기간과 비교해 8.0% 줄어든 수치다. 예상 매출은 5조6천926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성장률이 1.4%에 그칠 전망이다.

김홍식 하나금융투자 연구원은 "1분기 실적 부진이 예상되는 이유는 이동전화 가입자당 평균매출(ARPU) 하락과 유선 부문 ARPU 성장 둔화, 인건비·서비스 원가 등 영업비용 증가 때문이다"며 "BC카드 등 자회사의 영업이익 기여 감소도 실적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내다봤다.

통신요금 원가 자료를 공개하라는 대법원 판결에 따라 주무 부처인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이동통신 3사의 영업보고서와 요금 신고·인가 관련 자료를 공개하기로 한 것도 주가에 큰 악재로 꼽힌다.

지난 2005년부터 2011년 5월까지 발표한 자료가 공개 대상이기 때문에 당장 큰 타격은 없지만, 원가보상률 등 민감한 수치가 공개될 경우 KT를 비롯한 이통사들은 추가적인 통신비 인하 압박을 받을 가능성이 크다.

정권 교체 시기마다 반복되는 '최고경영자(CEO) 리스크' 역시 KT 주가 부진의 원인으로 지목된다. KT 임원들의 불법 정치자금 혐의를 수사하고 있는 경찰은 오는 17일 황창규 KT 회장을 피의자로 소환할 예정이다.

금융투자업계 관계자는 "KT의 주가순자산비율(PBR)이 역사적 저점인 0.5배 수준에 머물러 있지만 주가는 지속적인 하락세를 타고 있다"며 "정부의 통신비 규제에도 실적이 반등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확실히 보여줘야 시장이 반응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wchoi@yna.co.kr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