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윤영숙 기자 =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Fed)가 30일~1일(이하 현지시간) 예정된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에서 인플레이션 목표치 수정에 대한 힌트를 줄지 주목된다.

연준 위원들은 2012년에 설정한 물가 상승률 목표치 2%에 대한 재검토에 들어간 상태다.

거의 10여년간 저물가로 인해 물가상승률이 연준의 목표치인 2%에 도달하지 못한 가운데, 리세션 우려가 커지자 이에 대한 논의가 활발해진 것으로 풀이된다.

연초 리세션 위험이 커지면서 시장에서는 다음 침체가 닥쳤을 때 연준이 경기침체를 방어할 수단이 많지 않다는 우려가 제기됐었다.

29일(현지시간) 뉴욕타임스에 따르면 이전 두 차례 경기침체기가 시작되기 전인 2000년과 2007년에 기준금리는 각각 6.5%, 5.25%로 현재의 2.50%보다 크게 높은 상태였다.

이 때문에 단기적으로 연준 위원들은 일정 기간 더 낮은 수준의 금리를 허용하기 위해 평균 2%의 물가 목표제를 도입할 것으로 예상된다.

평균 물가 목표제는 불황 때 인플레이션이 2%를 밑도는 것을 허용하고, 경제 성장기에 물가 상승률이 2%를 넘어서는 것을 허용해 평균적으로 2%로 수렴되게 유지하는 것이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3월 초 연설에서 통화정책 검토 과정은 "혁명(revolution)보다는 진화(evolution)를 가져올 것"이라고 언급했다.

파월은 법에 변화를 주지 않을 것이며 연준의 구조나 2%의 인플레이션 목표제의 근본적인 변화를 고려하고 있지 않다고 설명했다.

즉 통화정책을 검토하더라도 이는 2% 목표제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을 것이라는 얘기다.

일부에서는 2% 목표치를 상향하는 방안도 고려해야 한다고 주장해왔다.

만약 목표치를 올릴 경우 이는 미래의 경기침체에 대응할 유연성을 확대해줄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다만 이는 물가 불안을 감수해야 하는 부담이 있다.

파월은 지난달 20일 연설에서는 (향후 경기 방어를 위해) "제로금리 하한에 근접한다는 것은 인플레이션 목표치의 신뢰성을 고수하기 위한 방법을 찾기 위해 연준에 더 창의적인 사고가 필요하다는 의미다"라고 설명했다.

결국 이 같은 논의의 핵심은 통화정책에 대한 신뢰도를 높이기 위한 것이지만, 과연 통화정책을 수정한다고 해서 신뢰성이 담보되는지도 의문이다.

닐 카시카리 미니애폴리스 연은 총재는 물가 수준 목표제나 명목 국내총생산(GDP) 목표제 등에 대해 사람들이 얘기하고 있다는 것을 잘 알고 있다며 이러한 접근 방식이 이론적으로 매력적이지만, 이는 잠재적인 금융 버블의 위험이나 갑작스러운 인플레이션 폭발을 막기 위해 연준이 금리 인상을 단행해야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새로운 접근법 중의 하나를 선택한다고 해서 그러한 위험이 사라진다고 보지 않는다고 말했다.

ysyoon@yna.co.kr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